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칼럼] 저항과 아픔의 역사, 제주 4.3

청꿈기자단3기

저항과 아픔의 역사, 제주 4.3

 

제주 4.3이란, 19473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4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9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을 말한다.

1945년 광복 후 일장기가 있던 자리에는 성조기가 꽂히게 되었다. 그러던 중 194731, 3만여 명의 제주도민들은 관덕정이라는 곳에 모여 3.1정신을 계승해 통일국가를 이루자는 집회를 전개했다.

 

우리 마을에서도 젊은 사람치고

그날 행사에 안 간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주로 국민학교 선생들이 앞장 선 일이지만,

3.1절 기념 행사를 하겠다는데 마다할 이유가 없었습니다.

 

당시 27세의 나이로 참가했던 참석자의 증언

<4.3은 말한다>

 

문제는 집회가 끝나 갈 때 즈음 일어났다. 한 경찰이 타고 지나가는 말에 어린아이가 치이는 사고가 발생했다. 무시한 채 가버리는 경찰에 주민들은 강하게 항의했고 경찰이 발포하며 주민 6명이 죽었다. 이에 제주도 직장 95%가 참여한 민관 합동 총파업이 발생했다. 그러나 미군정은 제주도를 좌익 본거지로 규정했다. ‘제주도민은 빨갱이다.’라는 관념이 그들의 머릿속에 깊게 박혀버린 것이다. 제주도의 실상은 이러했다. 대흉년이 계속되던 가운데 미군정이 공출제도를 부활시키자 반발이 거세졌고, 때문에 수많은 경찰과 함께 서북청년단이 계속해서 내려왔다. 그들이 제주도민에 대해 알고 있던 것은 제주도민은 빨갱이다.’라는 생각이었다. 그들은 제주도를 이해하고 포용하기는커녕 그들만의 틀에 맞추려 했다. 이러한 시국이 지속되던 끝에 194843일 새벽, ‘남조선노동당(남로당)’ 무장대가 산에서 내려와 경찰 지서와 우익단체를 공격하며 무장봉기가 시작됐다. 제주도에서는 그저 통일된 정부를 원했으나 미군정과 정부는 이를 무자비하게 탄압했다.

 

해안선 5km 이상 지역에 출입하는 사람들은

폭도로 간주하고 무조건 사살한다.

 

-19481017일 제주에 내려진 포고문-

 

이 소식을 접하지도 못한 무고한 민간인들이 모조리 죽어 나갔다. ‘제주 4.3’은 민간인들이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참사이며 아름다운 섬 제주에 숨겨진 아픔의 역사이기도 하다. 이는 우리가 가슴속에 영원히 기억하고 성찰해야 할 과거 정부의 오점이다.

 

우리가 제주 4.3을 기억하는 법

 

김영삼 전 대통령의 문민정부 시대에는 역사바로세우기와 맞물려 "공인된 단체에서 진상규명 작업을 할 경우 정부에서 모든 협조를 하겠다"는 정부 입장이 표명되었다. 이후 그리고 김대중 당시 대선후보 역시 제주 4.3 사건의 진상 규명 및 명예회복을 공약으로 내세웠고, 대통령에 당선된 뒤에도 당내 조사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진상규명에 힘썼다. 1999년에는 제주 4.3 사건의 문제 해결을 21세기로 미룰 수 없다는 구호 아래 4.3도민연대, 제주종교인협의회, 4.3범국민위원회 등이 4.3특별법 제정을 요구하였다. 이에 새정치국민회의 측은 위원회 설립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우며 특별법 제정에 소극적이었지만, 시민들의 거센 반발으로 인해 선회하여 특별법 제정에 동의하게 되었다. 그렇게 19991216,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본회의를 통과해 2000년에 시행되었다.

 

김대중43.png.jpg

청와대에서 유족시민단체 대표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제주43 특별법에 서명하는 김대중 대통령(2000. 1. 11)

 

200310월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사건 55년 만에 최초로 국가원수로서 사과를 하고, 2005년에는 국가 차원에서 최초로 4.3사건에 대한 공식 사과를 했다. 2006434.3사건 58주기 위령제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이 과거사 정리 약속을 포함한 추도사를 하여 대한민국 정부 차원에서 사과하였다.

 

노무현43.png.jpg

노무현 대통령의 제주도민과의 대화

 

공간으로 기억하는 제주 4.3

 

제주4·3평화공원

4·3사건으로 인한 제주도 민간인학살과 제주도민의 처절한 삶을 기억하고 추념하며,

화해와 상생의 미래를 열어가기 위한 평화·인권기념공원.

 

43공원.png.jpg

 

43연혁.png.jpg출처: 제주4.3평화재단

 

 

제주4.3이 기억되어야 하는 이유

 

최근 윤석열 정부가 초중고 역사교과서에 제주 4·3에 대한 기술 근거를 삭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교육부는 최근 '2022 개정교육과정'을 행정예고하면서 2018-162호 고시에서 기존 교육과정에 명시되었던 '학습요소' 항목과 '성취기준 해설' 부분을 삭제했다. 이에 따라 제주 4·3의 기술 근거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이와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4·3유족회, 제주도의회 등 각계에서 비난 성명이 이어지고 있다. 학습요소와 성취기준 해설은 교과서 집필의 근거가 되기도 하며 교사들이 수업을 준비하는 바탕이 되는 중요한 요소로서 단순하게만 볼 문제는 아니다. 일각에서는 윤석열정부의 자유민주주의 기조를 교과서에도 반영하려고 해 출판사들에게 보이지 않는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생기고 있다. 제주 4.3은 단순히 학문적으로 배워야 할 역사가 아니라 민족적으로 배워야 할 화합과 연대의 상징, 과거 아픔의 기억이다. 과거를 살지 않았던 현재 세대 나아가 미래 세대에게 역사적 아픔을 전하고 성찰하며 역사 청사진을 그리게 하는 것이 국가 교육의 역할이자 진정한 자유민주주의이다.

 

 
댓글
1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 타마시로티나

    남로당을 비롯한 북한 간첩을 척결하는 것은 옳으나 기득권층의 횡포에 반대하는 것을 좌익으로 몰이하는 것이야말로 북한 공산당이 좋아하는 짓이라는 것. 그게 제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