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개담] “용산은 매우 오만무례하시오!”

오주한

말 그대로 지극히 개인적 소견의 담론

역사상의 제왕‧충신 간의 쓴소리 열전

 

고래(古來)로 성공한 리더의 곁에는 대부분 ‘미스터 쓴소리’가 많았다. 후한서(後漢書) 등에 의하면 완전무결한 영웅의 표본처럼 여겨지는 후한 광무제(光武帝‧생몰연도 기원전 5~서기 57)도 예외는 아니었다.

 

하루는 광무제가 사냥에 나섰다가 밤늦게 돌아왔다. 성문을 지키던 질운(郅惲)이란 자는 원칙을 들어 문을 열어주지 않았다. 졸지에 풍찬노숙하게 된 광무제는 빙 돌아서 다른 성문으로 겨우 들어왔다. 날이 밝자 질운은 광무제 앞에 불려갔다. 질운은 죽여주시옵소서 하는 대신 “폐하께서 하루 종일 사냥이나 즐기시니 장차 종묘사직(宗廟社稷)을 어찌 하려 이러십니까” 도리어 신나게 질책했다. 광무제는 목을 베는 대신 제 과오를 인정하고 사과했다. 그리곤 어젯밤 다른 쪽 성문을 열어준 관리는 벼슬을 깎아버렸다.

 

낙양령(洛陽令) 동선(董宣)이란 이는 성품이 매우 강직했다. 광무제에게는 호양공주(湖陽公主)라는 누이가 있었는데 그녀의 충복(忠僕)이 살인을 저질렀다. 동선이 살인범을 잡으러 오자 공주는 황제의 위세를 등에 업고 체포에 불응했다. 동선은 어느 날 공주가 수레를 타고 나오자 정차(停車)시킨 뒤 수레 안을 수색해 기어이 충복을 끌고 갔다. 노한 공주는 광무제에게 달려가 “저 무엄한 놈을 죽여 달라” 참소했다.

 

광무제 앞에 잡혀온 동선은 “신(臣)은 오로지 국법(國法)을 지킬 뿐입니다. 이 꼴 보느니 차라리 신이 자결하겠습니다!” 궁궐기둥에 머리를 박으려 했다. 깜짝 놀란 광무제는 동선을 겨우 진정시키면서도 “황족(皇族) 체면을 봐서 공주에게 사과 정도는 하라” 당부했다. 좌우가 달려들어 동선의 머리를 강제로 숙이게 했으나 동선은 온 몸에 힘을 꽉 주고서 끝내 거부했다. 결국 광무제는 백기 들고서 동선에게 오히려 큰 상을 내렸다.

 

또 호양공주와 얽힌 일화. 공주는 젊어서 과부가 돼 매일 밤 독수공방했다. 누이가 딱해 보였던 광무제는 눈여겨 본 남정네가 있냐고 물었다. 공주는 수줍어하는 척하면서 남자답고 잘생긴 송홍(宋弘)이란 신하를 지목했다. 그런데 송홍은 이미 결혼한 유부남이었다.

 

어느 날 송홍과 술잔을 기울인 광무제는 “사람이란 무릇 출세하면 친구를 바꾸고 부유하면 아내를 바꾼다는데 자네 생각은 어떠한가?” 은근히 물었다. 이전부터 공주의 사심 가득한 시선을 느꼈던 터라 송홍은 황제의 의중을 단번에 알아챘다. 송홍은 “신이 듣건대 가난할 때 사귄 친구는 잊어선 안 되고 술지게미와 쌀겨를 나눠먹으며 고생한 아내는 버리지 않는다 합니다” 꾸짖듯 답변했다. 공주와 만난 황제는 “안 되겠소. 포기하시오” 말했다. 조강지처(糟糠之妻)라는 사자성어가 이 일화에서 유래됐다.

 

쓴소리 대풍년을 맞았던 대표적 인물은 단연 광무제의 선조 한고조(漢高祖)다. 반달(반은 민간인, 반은 달건이) 출신이었던 그는 최측근들로부터 “짐승보다 못한 놈” “오만무례한 xx” 등 온갖 욕을 푸짐하게 먹으며 한나라를 창업하고 초반기를 경영해 400년 제국의 기반을 다졌다.

 

사기(史記) 등에 의하면 진(秦)나라가 멸망하자 서초패왕(西楚覇王) 항우(項羽)는 한고조를 멀리 산간벽지 파촉(巴蜀) 땅의 한왕(漢王)에 봉했다. 고조는 이를 갈았으나 삼군(三軍)을 통솔할 대장군감이 없어 땅이 꺼져라 한숨만 내쉬었다. 그런데 재상 소하(蕭何) 밑에는 항우의 말단졸병이었다가 투항해 치속도위(治粟都尉)란 하급벼슬을 하던 한신(韓信)이 있었다.

 

소하는 한신과 함께 일하는 과정에서 그가 범상치 않은 인물임을 알아챘다. 그러던 어느 날 한신이 도주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당시 한군(漢軍) 진영에서는 산간오지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향이 그리워 탈영하는 이들이 적지 않았다. 탈영병들을 속수무책으로 바라만 보던 소하는 한신마저 달아났다는 걸 알자 누구에게 알릴 틈도 없이 말(馬)에 올라 홀로 한신을 뒤쫓아 갔다. 그리곤 설득 반 협박 반으로 다시 데려와 한신을 대장군으로 천거했다.

 

“이젠 소하마저 날 버리고 갔구나” 통곡하던 고조는 소하가 되돌아오자 매우 기뻐하면서 고심 끝에 한신을 대장군에 임명하려 했다. 그런데 권위(權威)가 생명인 삼군 통솔자 임용 과정이라는 게 “그래 알았다. 걔더러 대장군 하라고 해. 끝”이 전부였다. 이에 폭발한 소하는 역사에 길이 남을 대갈일성(大喝一聲)을 내뿜었다.

 

“대왕(大王)은 평소에 매우 오만무례하십니다. 수십만 장병(將兵)을 이끌 대장군을 지명한다면서 그를 대하는 태도가 마치 어린아이 대하듯 하십니다. 그런 안하무인 자세 때문에 한신 같은 호걸(豪傑)들이 대왕을 버리는 것입니다”

 

정신이 번쩍 든 고조는 소하의 충언(忠言)대로 길일(吉日)을 잡아 목욕재계한 뒤 제단을 크게 세우고 엄숙한 의식 속에 한신을 대장군에 봉했다. 한신은 훗날 신들린 용병술(用兵術)로 초한쟁패(楚漢争覇) 승리의 일등공신이 된다. 이 일화 때문인지 훗날 소하의 후임이 되는 왕릉(王陵) 등도 “폐하는 예절이라곤 모르고 오만불손하십니다” 꾸짖으며 고조가 ‘삐딱선’ 탈 때마다 바로잡게 된다.

 

한고조의 욕잔치 2탄. 한신의 활약에 힘 입은 고조는 50여만 대군을 이끌고 항우의 근거지를 쳐서 함락했다. 그러나 팽성대전(彭城大戰)에서 항우의 3만 정예군에 패해 이내 달아나는 꼴이 됐다. 얼마나 상황이 다급했냐면 도주 과정에서 고조와 어린 두 자식을 수행한 건 마차기사인 하후영(夏候嬰)이 전부였다.

 

사람이 원래 그렇게 무정했던 건지 아니면 다급함에 순간 이성을 잃었던 건지, 추격병이 코앞까지 쫓아오자 고조는 마차 무게를 덜기 위해 ‘두 자식’을 차문 밖으로 밀어버렸다. 고조의 장녀 노원공주(魯元公主)와 아들 유영(劉盈)이 굴러 떨어지자 경악한 하후영은 마차를 멈춰 세운 채 우는 두 아이를 다시 태웠다. 마차가 달리기 시작하자 고조는 다시 자식들을 내다버렸으며 그럴 때마다 하후영이 다시 안아 올리는 상황이 반복됐다.

 

눈 돌아간 고조는 급기야 ‘검’을 꺼내 하후영을 수차례 찔러 죽이려 하고 자신이 운전석에 앉으려 했다. 험지 주파 오프로드 레이싱의 달인이었던 하후영은 한 손으론 말들을 몰고 한 손으론 검을 막다가 마침내 폭발해 역사에 길이 남을 대규일성(大叫一聲)을 내뿜었다.

 

“한낱 짐승도 제 새끼 귀한 줄 압니다! 대왕께선 지금 이게 뭐하는 짓이오!”

 

고조는 간신히 초군(楚軍)의 추격을 피하자 제정신으로 돌아왔다. 짐승보다 못한 놈이란 욕을 먹어도 할 말이 없었던 그는 훗날 하후영을 여음후(汝陰侯)에 봉했다. 유영은 훗날 고조의 뒤를 이어 전한(前漢) 2대 황제 혜제(惠帝)에 등극했다.

 

22대 총선 결과로 인해 ‘용산’의 앞날이 매우 어둡다. 용산은 거의 매 사안마다 거야(巨野)의 허락을 받아야 하는 처지가 됐음은 물론 ‘8표’의 반란표만 나와도 사실상 자리에서 내려와야 하는 신세가 됐다. ‘풍등(風燈)’ 딱 두 글자로 요약될 수 있는 게 지금의 용산이다.

 

사태가 이렇게까지 치닫게 된 결정적 원인 중 하나는 용산 빼고 누구에게나 공공연한 비밀이듯 VIP 주변에 ‘충성맨’들만 있었고 또 VIP가 그것을 즐겼기 때문이다. 역사는 거짓말을 하지 않기에 용산의 작금의 위기는 애초부터 예상됐던 터였다.

 

바라건대, 용산은 늦었지만 지금부터라도 정신을 차리길 바란다. 그리고 수년 뒤 새롭게 이 나라를 이끌어나가게 될 리더는, 누가 될지 모르나, 모쪼록 직언을 보약으로 아는 이가 되길 바란다. 우리나라는 VIP 연임(連任)‧중임(重任)이 불가능하기에 딱 5년만 “나 죽었소” 하면 된다. 5년의 희생은 이후의 삶의 영광으로 반드시 되돌아올 것이다.

 

20000.png.jpg

오주한 前 여의도연구원 미디어소위 부위원장

댓글
2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 whiteheart
    2024.04.12

    쓴소리를 안 받아들이는 대통령

  • whiteheart
    오주한
    작성자
    2024.04.12
    @whiteheart 님에게 보내는 답글

    안타깝습니다. 앞으론 좀 안타까울 일 없길 바랄 뿐이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