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개담] 이준석, 신당 지지율 보고 있나

오주한

말 그대로 지극히 개인적 소견 담은 담론

“내가 킹” 자아도취‧내부총질 끝 망한 위연

李신당 부정여론↑… 자중하고 민심 따라야

 

<말단졸병에서 한중태수로>

 

위연(魏延‧생몰연도 ?~서기 234)은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정서대장군(征西大將軍)이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 묘사된 반골의 상(反骨之相)으로 ‘삼덕들’ 사이에 잘 알려져 있다.

 

위연은 형주(荊州) 의양군(義陽郡) 사람이다. 연의에선 장사태수(長沙太守) 한현(韓玄) 휘하였다가 노장(老將) 황충(黃忠)을 구하고 유비(劉備)에게 투항한 것으로 나온다. 허나 정사삼국지(正史三國志) 촉서(蜀書) 위연전(魏延傳) 등에 의하면 어렸을 적 직업은 알 수 없고 유비의 부곡(部曲‧사병)으로서 첫 종군(從軍)했다.

 

공이 적지는 않았던 듯하다. 입촉(入蜀) 후 유비는 말단 졸병인 위연을 아문장군(牙門將軍)으로 승진시켰다. 파격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유비는 머나먼 조상 한고조(漢高祖)의 발자취를 따라 219년 한중왕(漢中王)을 참칭(僭稱)했다. 그리곤 조조(曹操)의 영토와 맞닿은 최전선 한중을 지킬 대장을 선발했다. 관우(關羽)는 멀리 형주를 지키고 있고 조자룡(趙子龍)은 유비 호위무사 격이니 후보군은 장비(張飛) 한 사람으로 압축되려 했다. 그런데 유비는 내로라하는 백전노장(百戰老將)들 제쳐놓고 말장(末將) 위연을 독한중(督漢中)‧한중태수‧진원장군(鎭遠將軍)에 봉했다.

 

뒷전으로 밀려난 장비는 물론 문무백관(文武百官)들 전부가 놀라고 의아해했다. 그러자 유비는 모두가 보는 앞에서 위연에게 물었다. “한중이 뚫리면 촉한은 끝이다. 독한중의 중임(重任)을 어찌 감당하겠는가” 위연은 호기롭게 답했다. “조조가 천하를 들어 쳐들어온다면 대왕(大王)을 위해 막을 것이고, 조조 졸개가 10만 군사로 밀고 들어오면 대왕을 위해 삼켜버리겠습니다”

 

위연은 유비가 한중에 구축한 철통같은 방어시스템을 충실히 운용했다. 위(魏)나라의 대촉(對蜀) 전선 담당자 격이었던 하후연(夏侯淵)‧장합(張郃)은 물론 조조 본인도 섣불리 한중을 건드리지 못했다. 유비‧유선(劉禪)이 각각 221‧223년에 황제로 즉위하자 위연은 진북장군(鎭北將軍)‧도정후(都亭侯)에 봉해졌다.

 

<자중‧겸손 쌈 싸먹고 분란 남발>

 

그런데 위연은 촉한 건국의 공이 오로지 자기 자신에게만 있는 줄, 오로지 자기 자신만이 세상 최고인 줄 착각했던 모양이다.

 

유선 치세(治世)에는 관우‧장비 등이 모두 사망했기에 군영(軍營)에선 조자룡이 최고참, 위연이 두 번째 고참 쯤 됐다. 게다가 조자룡마저 이미 상당히 노쇠해진 상태였다. 227년 북벌(北伐)에 나선 승상(丞相) 제갈량(諸葛亮)은 그나마 젊고 경험도 풍부한 위연을 독전부(督前部)로 삼았다.

 

전략회의 참석한 위연은 지도를 가리키며 장문(長文)의 연변 토했다. “장안(長安)을 지키는 위장(魏將) 하후무(夏侯楙)는 고생이라곤 모르고 귀공자로 자란 철부지라 겁 많고 무모합니다. 제게 정예 전투부대 5000명, 보급부대 5000명을 주십시오. 곧장 포중(褒中) 동쪽으로 나아가 자오곡(子午谷)을 타면 열흘도 안 돼 장안에 이를 수 있습니다”

 

“뜻하지 아니한 시간에 기습하면 하후무는 놀라 달아날 것입니다. 도성 안 식량고 등이라면 1만 군사가 주둔하는데 충분합니다. 위군(魏軍) 지원병은 집결하는 데만 약 한 달이 걸릴 테니 그 사이에 승상께서 야곡(斜谷) 통해 오시면 저와 합류해 동관(潼關)에서 적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광활한 관서(關西)는 일거에 우리 영토가 될 것입니다”

 

위연의 계책은 언뜻 일리 있어 보였으나 위험한 도박이 될 수도 있었다. 만에 하나 하후무가 척후(斥候) 통해 위연의 존재 알아채면 끝이었다. 험준한 협곡에서 매복공격하거나 굳게 성을 지키면서 위연 퇴로를 막아버린다면 촉한은 5천 정예와 큰 장수를 잃을 게 뻔했다. 사천분지(四川盆地)가 영토의 전부이다시피 한 촉한은 사람 한 명 한 명이 아쉽고 귀했다.

 

사실 파촉(巴蜀)에서 별동대가 출병해 관서를 집어삼킨 뒤 본대와 합류해 동진(東進)한다는 전략은 한고조의 성공사례가 있긴 했다. 그러나 400년 전과 그 때의 사정은 달랐다. 무엇보다 위연의 용병술(用兵術)은 400년 전 별동대 이끌었던 한신(韓信) 발끝에도 못 미쳤다.

 

자연히 제갈량 이하 일동은 고개를 갸웃거렸다. 논의 끝에 제갈량은 위험한 생각이라며 채택하지 않았다. 위연으로선 재차 이치에 맞게 설득하거나 조직의 결정에 순응해야 했다. 허나 기록에 의하면 위연은 “제갈량은 겁쟁이”라 공공연히 비방하며 제 계책만이 완벽하다고 떠벌렸다.

 

<민심 못 헤아리다 광속해체 된 반골클럽>

 

사회‧조직 부적응자였던 위연은 ‘반골의 상’이라는 별칭에 걸맞게 끝내 모반 일으켰다.

 

마지막 북벌에 나섰던 제갈량은 234년 자신의 수명이 곧 끝날 것임을 직감하고서 장사(長史) 양의(楊儀), 사마(司馬) 비의(費禕), 호군(護軍) 강유(姜維) 등 휘하를 소집했다. 위연은 군사 이끌고 멀리 주둔 중이었기에 오지 못했다.

 

이 자리에서 제갈량은 “내가 죽으면 위연이 최후방을 막고 강유는 중군(中軍)을 이끌며 퇴각하라. 총괄은 양의가 한다. 비의는 이 명령을 위연에게 전하라. 혹 위연이 따르지 않더라도 나머지는 내 말대로 움직여라” 유훈(遺訓) 남겼다. 그리곤 오장원(五丈原)의 가을바람에 휘날려 신선처럼 떠나갔다.

 

오만했던 위연은 평소 여러 백관들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 특히 승상부(丞相府) 장사였던 양의를 ‘제갈핵관(제갈량 핵심관계자)’ 식으로 비방하며 그와 서로 이를 갈았다.

 

비의를 만난 위연은 화를 벌컥 내며 “제갈량이 죽었다 해도 나는 건재하다. 어찌 한 사람이 죽었다고 대업(大業)을 그만 두겠는가. 또 나 위연이 어떤 사람인데 양의 따위의 지시나 따르겠는가. 승상부 관속(官屬)들은 제갈량 관이나 들고 돌아가 장사나 지내라. 나는 대군과 함께 북벌을 완수하겠다” 을러댔다.

 

감금 위기 처한 비의는 “내가 장군께 병권(兵權) 넘기라고 양의를 설득하겠다” 구실 댄 뒤 풀려나 위연의 하극상을 고변(告變)했다. 급해진 양의는 제갈량 생전 지시대로 군사를 물리기 시작했다.

 

공사(公私) 구분할 줄 몰랐던 위연은 뭘 잘 했다고 저 혼자 대로(大怒)한 채 휘하 이끌고 신속히 남진(南進)했다. 또 아군이 건널 잔도(棧道)에 불질러버리는 엄청난 짓 저질렀다. 잔도를 못 건너면 촉군은 위나라 영토에 고립돼 추격해온 사마의(司馬懿)에게 도륙되기 십상이었다. 그렇게 되면 빈털터리 촉한도 멸망할 게 불 보듯 뻔했다. 위연의 분풀이 행각은 반역으로까지 발전하는 등 도를 넘었다.

 

위연은 자신의 ‘위연 신당(新黨)’이 성공할 거라 자신했던 모양이다. 그러나 명분도 뭣도 없는 이 분풀이질‧내부총질‧팀킬에 휘하는 크게 술렁였다.

 

잔도 방화(放火)범 위연은 손이 근질거렸는지 수하들 이끌고 아군을 직접 공격하는 천인공노할 짓도 저질렀다. 그를 막아선 왕평(王平)은 “승상 시신의 온기가 채 식지도 않았는데 너희는 모반하려 드느냐!” 호통 쳤다. 위연은 여유만만히 “우린 연락망 구축해 만난 반골클럽‧반골신당이야. 당원동지들 돌격 앞으로” 외쳤다.

 

그러나 사필귀정(事必歸正)인 법, 위연 휘하는 “당원 같은 소리하네” 뿔뿔이 흩어져 친정 촉한에 모조리 투항했다. 신당에 진심으로 합류한 이는 한줌 수준이었다. 신당 성공 자신하며 친정에 칼 겨눴다가 패가망신한 위연은 개 꼴로 붙잡혀 삼족(三族)이 멸족(滅族)됐다.

 

<젊은 이준석, 사회생활부터 익히길>

 

‘이준석신당’에 부정적 시각이 더 크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잇달아 나왔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20~22일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p)에서 이준석신당을 지지할 마음이 있다는 응답은 21%, 지지할 마음이 없다는 69%로 집계됐다. 20‧30대에서도 부정적 여론이 더 컸다. 20대 이하에서 “있다”는 22%, “없다”는 57%, “모름”은 21%였다. 30대에서의 “있다”는 28%, “없다”는 62%였다.

 

한국갤럽이 21~23일 전국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p. 지금까지의 여론조사들 상세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도 이준석신당 창당을 좋지 않게 본다는 응답(48%)이 좋게 본다(38%)보다 높았다.

 

이준석 전 대표 측근그룹이었던 ‘천아용인’ 일부도 신당 합류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이러한 기류를 아는 건지 이 전 대표도 자신 있게 신당을 밀어붙이는 대신 “나 좀 말려주쇼” 식으로 미적거리는 분위기다. 최근 이 전 대표와의 2차 회동을 공개한 금태섭 새로운선택 창당준비위원회 대표는 “이 전 대표는 아직 국민의힘 당원이다.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필자가 앞서 전망했던 대로 ‘용산 출마자 저격하러 어디 출마한다’ 식의 분풀이식 신당 창당은 공감 얻기 힘들다. 총선은 이 전 대표 화풀이 장소가 아닌 민생(民生)을 위해 국민의 일꾼을 뽑는 공간이다.

 

위연은 아무 명분도 없는 분풀이 내부총질 나섰다가 제 신당이 일순간에 신기루처럼 스러지는 꼴 봐야 했다. 이 전 대표는 아직 젊다. 시간은 많다. 사회생활을 거의 해보지 않아서 그런지 모르겠으나 자중하는 법, 인내하는 법, 마음을 다스리는 법부터 배우길 바란다. 그리고 민심과 민생을 우선시하길 바란다.

 

20000.png.jpg

오주한 前 여의도연구원 미디어소위 부위원장 [email protected]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