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의 관세폭탄에 중국이 전면전을 선언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에 맞서 중국이 추가 관세는 물론 희토류 수출 통제, 미국 기업 제재 등 전방위 보복 조치를 쏟아내며 미·중 무역갈등이 다시 격랑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4일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은 "오는 4월 10일 낮 12시 1분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동일한 비율(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데 대한 맞대응이다.
국무원은 "이번 기준 시점 이전에 선적된 미국산 화물의 경우, 5월 13일 자정 이전까지 중국에 도착하면 추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며 관세 적용 기준도 명확히 했다.
중국은 관세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보복 조치를 동시에 내놓았다.
우선, 중국 상무부는 미국 군수기업 16곳에 대해 이중용도 물품(민간·군사 병행 활용 가능 품목)의 수출을 금지하는 제재를 단행했다. 해당 조치는 미국 방산 산업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 민감한 수단으로 평가된다.
전략 자원인 희토류에 대한 통제 조치도 눈에 띈다. 상무부는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루테튬, 스칸듐, 이트륨 등 7종의 희토류 자원에 대해 수출을 통제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광물은 반도체, 전기차, 무기체계 등 첨단산업의 필수 소재로, 글로벌 공급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는 검역 기준 위반을 이유로, 미국산 수수·가금육을 수출하던 미국 기업 6곳에 대해 수출 자격 정지 조치를 내렸다. 식품안전을 명분으로 내세운 이 조치는 중국 소비시장 접근 자체를 제한하는 효과를 낳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이 같은 일련의 조치와 별개로,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에 공식 제소했다고 밝혔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4/04/202504040040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