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에 올인해서, 지적 재산권으로 먹고 사는 나라 건설.
자동화 몽땅 풀로 박아서 로봇 밀집도 1위 국가 유지해서 스마트 팩토리 올인.
한류 잘 나가니까 문화에도 신경 쓰고.
즉 출산률이 낮아도 수출에 올인하는 국가 정책.
내수 낮은 것을 수출로 극복하자는 국가 전략.
한국 내엔 5000만이 있지만, 한국 밖엔 74억이 있다.
연구에 올인해서, 지적 재산권으로 먹고 사는 나라 건설.
자동화 몽땅 풀로 박아서 로봇 밀집도 1위 국가 유지해서 스마트 팩토리 올인.
한류 잘 나가니까 문화에도 신경 쓰고.
즉 출산률이 낮아도 수출에 올인하는 국가 정책.
내수 낮은 것을 수출로 극복하자는 국가 전략.
한국 내엔 5000만이 있지만, 한국 밖엔 74억이 있다.
ㄱㅊ
현실적으로 최선임. 어차피 애 다들 안 놓을려고 할 거고 그게 답임.
출산율 낮은 현실에 군징병에 대해선 없네
나중에 인구 줄어들면 이것도 생각해야하는데
병신같은 생각임. 로봇이 세금내냐?
법인세, 소득세, 토지세, 재산세 등이 공장엔 연루되어 있음
그 공장을 한국에 왜지어 지금 기업들 죄다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에 짓는데
1. 아무리 머릿수가 중요한 시대는 지났지만 최소한의 머릿수는 필요한데 군대는?
2. 한국이 연구 몰빵해도 노벨상하나 없고 빨리빨리 성과내기가 정착된 나라가 다른 선진국들보다 연구에서 우위를 보일 수 있을지 의문. 지금도 고학력 연구원들은 미국으로 탈조선 중인것도 감안해야하고
3. 당장 4차 산업에서도 미국 중국 기업들이 압도적으로 앞서가고 있는 상황에서 4차 산업으로 한국이 먹을 수 있는 파이가 별로 없음
4. 수출 경쟁력과 내수는 서로 연관되어있음
5. 위에서도 말했지만 로봇은 세금 안 냄. 법인세 많이 걷겠다고? 소비인구 급속도로 쪼그라드는 안좋은 시장에 안그래도 기업들 투자 별로 안하려고 할건데 법인세도 많이 걷으면 ㅋㅋㅋ
조선일보가 교수 몇 명 모아다 놓고 한 인터뷰를 보고 내가 요약한 게 본문 내용이라 내가 제대로 답을 내놓을 수는 없음.
아 그냥 내가 생각해본거 적은거임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