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서평] 조선시대 '뇌섹남'이 남긴 부국강병의 비밀… '정약용 코드'

뉴데일리

2012년 개봉한 에릭 발렛 감독의 프랑스 영화 '도망자(La proie)'는 재소자가 감옥에서 아내와 사랑을 나누는 것으로 시작한다. 재소자들이 감옥에서 또는 감옥에서 잠시 벗어나 가족들과 함께 지내고, 부부관계를 갖는 것이다.

이런 배려를 하는 나라는 미국, 프랑스, 독일, 스웨덴, 핀란드 등으로 많지 않다. 우리나라가 수형자에게 가족을 만날 수 있는 '가족 만남의 집' 제도를 도입한 건 1999년이다.

'가족 만남의 집' 발상을 200여 년 전 조선시대에 내놓은, '갓쓴 선비'가 있다면 과연 믿을 수 있을까.

정약용(丁若鏞, 1762~1836년)은 오랫동안 감옥에 갇히는 바람에 부부생활을 할 수 없어 후손이 끊어지게 된 사람에게 자비와 은혜를 베풀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감옥에 있는 재소자에게 대를 잇도록 부부관계를 갖는 시간을 주자는 얘기다.

정약용은 명절에 죄수가 잠시 고향을 다녀올 수 있는 특별조치를 해도 돌아오지 않는 경우가 없다는 설명을 근거로 제시한다. 미국이 레드 하우스라는 '가족 만남의 집'을 도입한 게 20세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재소자에게 부부관계를 허용하자는 200여 년 전 정약용의 발상은 세계 최초가 아닐까 싶다.

한국의 레오나르도 다빈치, 정약용

'정약용 코드(도서출판 새움 刊)'는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저술세계, 개혁정신 등을 현대적 시각에서 쉽게 풀어 쓴 책이다. 독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다산의 저술과 그의 삶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자는 되도록 풀어썼으며 시대상황을 현대에 맞게 상세히 설명했다. 저자는 조선시대 '흑백의 인물'인 다산에게 컬러를 입히고자 했다고 부연한다.

저자는 다산은 200여 년 전 갓 쓴 고리타분한 선비가 아니라 오히려 현대에 딱 맞는 인물이라고 강조한다. 그는 문과와 이과를 드나드는 양손잡이 능력을 보여줬고, 과학과 예술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 '르네상스형 천재'라고 설명한다. 현대인이 추구하는 하이브리드 지식인이 바로 정약용이라는 것이다.

다산은 '한자가 생긴 이래 가장 많은 저술서'를 펴낸 학자이자 사상가이면서, 200여 년 전에 엑셀을 돌려 어려운 계산을 척척 해냈고 화성축성에 삼각함수를 활용한 수학자였다. 특히 수학자이면서도 음악가이자 메모광이라는 점에서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완전 닮은 꼴이라고 저자는 설명한다. 메모는 503권이라는 사상 유례 없는 저술을 남기게 한 비결의 하나로 꼽힌다. 심지어 다산은 임금이 아플 때 찾는 의사였고, 무기와 국방, 국제정세에도 밝은 군사 전문가였으며 장군의 기질도 갖추고 있었다.

26년간의 언론인 생활, 정약용에 천착해온 시간들

'정약용 코드'는 저자가 26년 동안 언론인 생활을 하면서 정약용에 천착해온 결과물이다. 저자는 언론계 생활에 이은 5년 동안의 공직생활을 하면서 정약용 정신을 본격 탐구했으며, 정약용의 통섭을 알아갈수록 고개가 끄덕여지고, 머리가 숙여지고, 너무나 훌륭하고 매력적인 분이라고 추어올렸다.

우리는 다산을 많이 알고 있는 것 같지만 '정약용 코드'를 읽으면 실제로는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정약용 코드'는 18년 동안 전남 강진에서 유배생활을 했던 까닭이 우리가 알고 있던 '천주교를 박해한 신유사옥'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과감한 언행 때문'이라는 정약용의 고백을 소개한다.

정약용은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 등에서 30대의 젊은 나이에 공직생활을 하면서 주변을 두려워하지 않는 과감한 언행을 했기 때문에 운명적인 유배생활을 했다고 털어놓는다. 정약용은 남의 잘못과 허물을 감싸는 아량보다는 남을 과감하게 비판하는 데 앞장섰다면서 '인생 잘 못 살았노라'고 뼈저린 후회를 했다.

조직 관리 비결은 '침묵'… 통치의 수단은 '청렴'

다산이 전하는 공직사회의 성공 비결은 지금도 유효하고, 공직 뿐 아니라 민간에 그대로 적용해도 무방하다. 다산은 총애를 과감하게 거부하고 윗사람의 존경을 받으라고 당부한다. 윗사람의 존경을 받는 비결은 당당하고 떳떳하게 할 말을 하는 데 있다고 다산은 강조한다. 윗사람 앞이라고 주눅 들지 말고 아닌 것을 아니라고 말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산이 말한 청렴은 목적이 아니라 통치의 수단이다. 다산은 청렴하지 않으면 아랫사람을 다스리는 권위가 서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청렴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청렴은 요즘의 지방자치단체장인 수령이 고을을 다스리면서 부하직원인 아전들을 다루는 '통치의 기술'이라는 것이다. 다산은 큰 욕심쟁이일수록 청렴한 법이고, 비리를 저지르는 이는 작은 욕심쟁이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아울러 다산은 조직 관리의 비결로 침묵을 꼽는다. 아랫사람의 작은 잘못을 보고도 말 못하는 사람인 것처럼 침묵을 지키고 갑자기 화를 내지 말라는 당부는 말의 무게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일하지 않으면 먹지도 말라"… 무노동 무음식 원칙 강조

저자는 "지금도 공직에 들어가 헤매고 있는 '어공(어쩌다 공무원)'에게 목민심서 또는 세르반테스의 소설 '돈키호테 데 라만차' 일독을 권하고 싶다"고 했다. '목민심서(牧民心書)'에서 정약용이 말하는 공직자 행동지침은 '돈키호테 데 라만차'에서 돈키호테가 바라타리아 섬의 총독으로 가는 산초 판사에게 말한 통치자 매뉴얼과 판박이다. 공직자는 발걸음도 천천히 하고, 양파도 먹지 말아야 하고, 점심보다는 저녁을 더 적게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약용은 돈벌이를 하찮게 여긴 다른 선비들과는 달리 뛰어난 경제관을 갖고 있었다. 이미 관직생활을 할 때 양잠 등으로 생활비를 벌어들였기에 틈만 나면 양잠과 특용작물 재배를 해서 돈을 벌라고 강조한다. 다산이 요즘 시대에 살았다면 양잠으로 바이오 대박을 터트렸을지 모른다. 다산은 '조용한 아침의 나라'를 다리와 도로, 수레로 살아 움직이는 '시끌벅적한 나라'를 만드는 경제개혁, 양반도 직업을 갖는 사회개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양반도 일하지 않으면 먹지 말라는 무노동 무음식 원칙을 강조했다.

성리학의 선비들이 중국을 떠받들던 시대에 다산은 중국보다는 일본에 주목했다. 그는 일본의 학문 수준이 조선 후기쯤부터 조선을 능가했다고 진단하면서, 일본에 대비책을 세워서 항상 경계심을 갖고 관찰하라고 당부했다. 개혁하지 않으면 틀림없이 나라가 망하고 말 것이라던 다산의 예언 아닌 예언이 실현되는 데는 100년이 걸리지 않았다.

◆ 저자 소개

박정현 = 26년 동안 서울신문 기자로 일하면서 사회부장, 경제부장, 논설위원, 경영기획실장 등을 지냈다. 국무총리 공보실장과 한국수자원공사 감사 등의 공직을 거쳤다. 서울신문 파리 특파원의 경험을 살려, '프랑스인들은 배꼽도 잘났다'를 펴냈다. '정약용 코드'는 저자가 기자 시절부터 '목민심서'를 읽으며 다산에 천착해온 결과물이다. 특히 공직생활을 하면서 정약용 정신에 대해 본격적으로 탐구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2/12/27/2022122700076.html
댓글
1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