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24일 사우디서 미-러-우크라 모인다 … 미국과 각자 '휴전 후속협상' 예정

뉴데일리

24일(현지시각) 사우디아라비아에 미국과 러시아, 우크라이나가 모두 모인다. 최근 부분 휴전에 합의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각각 미국과 만나 휴전 후속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21일 타스·AF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정책 보좌관은 24일 사우디 리야드에서 우크라이나 문제에 관한 미·러 전문가급 회담이 열린다면서 "협의가 생산적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우샤코프 보좌관은 그리고리 카라신 러시아 상원 국제문제위원장과 세르게이 베세다 연방보안국(FSB) 국장 고문이 러시아 측 협상 단장으로 참석한다고 밝혔다. 베세다 고문은 알렉산드르 보르트니코프 FSB 국장을 보좌한다.

카라신 위원장과 베세다 고문에 대해 우샤코프 보좌관은 "경험 있는 협상가"라고 소개했다. 또 미국도 협상팀을 구성했지만, 관련 정보는 미국이 공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전날 마이클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전화로 전문가 협상팀 구성과 흑해 안보 문제를 논의했다고 확인하면서 "그와 정기적으로 소통한다. 이런 대화는 양국 모두에 유용하다"고 말했다.

앞서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특사는 언론 인터뷰에서 미국과 러시아의 후속협상이 23일 사우디 제다에서 시작할 예정이라고 언급했으나, 일정과 장소가 변경된 것이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현재 최종 조율 중이기 때문에 일요일(23일)이 아닐 수 있다"며 "이르면 다음 주 초에 열릴 것이다. 며칠 내 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양국 대통령은 흑해협정 재개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여러 사정(nuances)이 논의돼야 한다. 전문가 그룹은 특히 이 부분을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흑해협정을 실행한 많은 경험이 있다. 우리는 당시 모든 조건을 존중했지만, 우리에 대한 조건은 전혀 이행되지 않았다"면서 협정 재개를 논의하기 전에 모든 복잡한 사정들을 정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개시 이후 흑해를 통한 우크라이나 곡물의 안전한 수출을 보장하는 흑해곡물협정을 체결했으나, 러시아 측 요구사항인 러시아산 곡물·비료 수출이 이행되지 않았다면서 2023년 7월 협정 종료를 선언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8일 전화 통화하면서 우크라이나 문제와 함께 흑해 해상에서의 휴전 이행 및 영구적 평화를 위한 기술적인 협상에도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월요일(24일) 사우디에서 미국과 회담이 있을 것이다. 우리 전문가팀이 참여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동료들이 말한 바로는 우크라이나와 미국의 회담이 열린 뒤 미국과 러시아의 회담이 뒤따를 것"이라며 "같은 주제에 대한 회담이 병행적으로 열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 회담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에너지 인프라 공격 중단을 포함한 휴전조건에 합의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 점령지역에 있는 자포리자 원자력발전소의 소유권 문제는 협상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우리는 현재 15기의 원자로를 운영하고 있으며 모든 원전은 우크라이나 국민에게 소유권이 있다"면서 "원전이 우크라이나에 속하지 않으면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미국이 원전을 소유하는 것이 우크라이나 인프라를 보호하고 에너지 인프라를 지원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주장하면서 사실상 해당 원전의 소유권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페스코프 대변인은 유럽에서 협상을 시작할 수 있다는 신호를 받지 못했다면서 "유럽에서 오는 신호는 유럽을 군사화하려는 계획과 관련 있다. 이는 평화적 해결을 모색하는 러시아·미국 대통령의 분위기에 상충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군사화에 착수해 일종의 전쟁 당사자로 변했다"고 주장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3/21/2025032100009.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