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인도 총리 만난 머스크, '테슬라 인도 진출' 재시동

뉴데일리

일론 머스크 CEO가 이끄는 전기자동차업체 테슬라가 인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수도인 뉴델리와 경제 중심지 뭄바이에서 매장을 임차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로이터는 소식통을 인용해 테슬라가 지난해 말부터 인도에서 공장 및 매장으로 쓸 공간을 물색해 왔으며 최근 뉴델리와 뭄바이에서 임차할 건물을 선정했다고 전했다. 개장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테슬라가 "인도에서 전기차를 판매할 것"이라면서 테슬라가 이 매장들을 직접 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테슬라는 이에 대한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 다만 현지 언론은 테슬라가 세계 3위 자동차 시장인 인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을 시작했다고 해석했다.

앞서 인도 현지 매체와 블룸버그통신 등은 테슬라가 글로벌 구인 플랫폼인 링크트인을 통해 인도에서 매장관리자(store manager)와 서비스 기술자(service technicians) 등 인력을 모집 중이라고 보도했다.

로이터는 이에 더해 테슬라가 매장을 임차하기로 하면서 인도 시장 진출에 한 걸음 더 다가갔다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인도의 전기차 시장이 중국에 비하면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테슬라가 최근의 판매 부진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앞서 테슬라는 2021년 인도에 판매 인프라를 구축하고 임원 12명으로 이뤄진 태스크포스(TF)를 만드는 등 인도 진출을 타진했다. 그러나 수입차에 대한 현지의 높은 관세에 막혀 좌절된 바 있다.

또한 지난해 4월에도 머스크 CEO가 직접 인도를 찾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만나고 20억~30억달러 규모의 현지 전기차공장 건설계획을 발표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으나, 머스크 CEO가 인도 방문을 며칠 앞두고 이를 전격 취소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렸다.

일각에서는 테슬라가 인도에 공장을 짓는 대신 전기차 수입 관세를 낮춰달라는 요구를 인도가 끝까지 거절했고, 테슬라도 매출 감소로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인도 진출이 무산됐다는 해석이 나왔다.

그러다 13일 모디 총리가 미국을 찾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면서 테슬라의 인도 진출에 다시 물꼬를 트게 된 것으로 미국 언론은 보고 있다.

모디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미국의 대(對)인도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무역협정 체결 등을 약속했다.

모디 총리는 정상회담 전에 머스크 CEO와도 만났으며 회동 이후 엑스(X, 옛 트위터)에 머스크와 "우주, 이동성, 기술, 혁신에 대해 논의했다"고 썼다.

머스크 CEO가 백악관에서 모디 총리와 회담했을 당시 그가 미국 정부효율부(DOGE) 수장으로서 회담에 임한 것인지, 기업인으로서 임한 것인지를 두고 여러 추측이 흘러나왔다.

한편 머스크 CEO는 자신의 인터넷 인공위성 통신서비스인 스타링크의 인도 시장 진출에도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19/2025021900011.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