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냉전 해체 주역'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 사망

profile
박지후대세

'냉전 해체 주역'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 사망

n.news.naver.com

원본보기


옛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인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이 현지시간 30일 사망했다고 타스통신 등이 보도했습니다.

러시아 중앙 임상병원은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이 오랜 투병 끝에 현지시간 30일 저녁 사망했다"고 밝혔습니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1985년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로서 집권한 이래 전제주의적 사회주의 체제를 무너뜨린 페레스트로이카, 즉 개혁 정책과 글라스노스트, 즉 개방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와 이듬해 동서독 통일을 사실상 용인해 서방에서 냉전 해체의 주역으로 높이 평가받습니다.

1989년 민주화 시위가 동유럽 공산주의권 국가를 휩쓸 때 과거 이들 국가에 대한 무력 개입을 정당화한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폐기한 것입니다.특히 1989년 12월 조지 부시 당시 미국 대통령과 몰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2차 세계대전 이후 반세기 동안 계속된 냉전의 종식을 공식 선언했습니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이 같은 공로로 이듬해 노벨평화상을 수상했습니다.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이처럼 냉전체제를 종식하고 동구권의 민주화에 기여했다는 평가와 함께 소련의 해체를 초래한 장본인으로 동구권을 서방에 넘겨준 배신자라는 혹평도 받습니다.

준비되지 않은 급진적 개혁이 결과적으로 경제적 혼란과 소련의 해체로 이어졌다는 지적입니다.

냉전 말기 경제 침체에 체르노빌 사태까지 겹친 상황에서 섣불리 시장경제를 도입하면서 물가 급등과 마이너스 성장이라는 최악의 상황까지 벌어졌습니다.

1989년에는 소련의 초대 대통령이 되지만 1991년 8월 보수파의 쿠데타 이후 급격히 권력 기반을 잃었고 소련도 공식 해체됐습니다.

이에 따라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고르바초프는 이후 다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으나 득표율은 미미했고, 최근에는 모스크바 외곽의 전원주택인 다차에서 여생을 보내고 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email protected]

댓글
1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