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11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신 안보실장은 이날 헌재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7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12·3 비상계엄 선포가 좋은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해 반대했다"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야당의 탄핵 남발 등 폭주를 이유로 계엄을 선포한 윤 대통령의 선택에 힘을 싣는 취지다.
신 실장은 지난해 3월 말~4월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등이 참석한 만찬에서 윤 대통령이 정치적 상황에 대한 푸념을 털어놨다고 말했다.
그는 "정확한 워딩은 기억나지 않지만 (윤 대통령이) 비상조치를 해야 되지 않겠냐는 취지로 발언했다"며 "다만 그 당시에는 계엄까지는 생각 못 했고 어떤 경우든 적절치 않고 좋은 해결책이 아니라고 의견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이어 "윤 대통령이 지나가는 말투로 비슷한 말을 했지만 저를 보고 말씀해서 평소에 제가 알고 있던 역사관, 국민의 정치의식 등을 고려할 때 썩 유용한 방법이 아니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나간 말이지만 다른 군인에게 그런 말을 하면 괜한 오해가 될 수 있겠다 싶어 특히 김 전 장관에게 유의 깊게 '대통령을 잘 모셔라', '대통령을 잘 모시는 길이 그런 말씀을 혹시라도 안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부하 된 도리'라고 말한 기억이 있다"고 덧붙였다.
신 실장은 윤 대통령이 2차 계엄을 선포한다는 의혹에 대해선 "그런 우려는 전혀 하지 않았다"고 딱 잘라 말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4일 오전 1시 55분경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계엄 해제하시죠’ 하자 윤 대통령이 바로 승인한 만큼 제2의 계엄을 생각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윤 대통령이 지체 없이 바로 (계엄 해제를) 하자고 해서 국무회의하고 해제됐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부정선거 의혹과 관련해서는 "사실 여부 관계없이 국민 다수가 의혹을 갖고 있다면 의혹을 해소시키는 게 공직자의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한편 헌재는 이날 오전 탄핵심판 7차 변론에서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증인신문을 진행했다. 오후에는 신 실장, 백종욱 전 국가정보원 3차장, 김용빈 선관위 사무총장 등에 대한 증인신문이 이어질 예정이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11/202502110032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