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전쟁의 여파가 중국과 무역전쟁 양상으로 번지면서 틱톡 매각 협상에 불똥이 튀었다. 막바지에 다다른 협상이 불발된 것이다. 틱톡 매각 협상은 최종 합의를 앞두고 중국 정부의 반발로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6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전용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세를 둘러싼 갈등으로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매각 협상이 불발됐다고 인정했다.
주요 언론은 중국 정부가 전날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한 항의 차원에서 틱톡 매각 협상을 중단시켰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대체로 정확하다"고 인정하며 "거래 성사에 매우 근접했지만, 중국이 관세 때문에 태도를 바꿨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내가 관세를 좀 내려주면 그들은 15분 안에 그 거래를 승인할 것"이라면서 "이것이 바로 관세의 힘"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들이 갖는 협상안으로 의견이 모아졌지만, 중국 정부가 상호관세에 대한 항의의 의미로 거래 결렬을 불사하고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 전 세계 교역 대상국에 기본관세 10%를 5일부터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어 9일부터는 국가별 상호관세를 추가로 부과한다.
중국의 경우, 추가로 34%의 관세율이 매겨졌다. 이에 중국 정부는 고율관세에 맞서 미국에 34%의 보복관세 조치를 실시하기로 했다.
매각 협상 결렬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4일 이른바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추가 유예했다. 취임 직후 연장 조치에 이어 두 번째 연장이다.
이에 따라 미국 내에서 1억7000만명에 달하는 틱톡 사용자들이 당분간 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매각을 위해 중국에 관세 인하를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틱톡이 암전 상태에 빠지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서 "중국과 선의를 갖고 계속 협상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는 "미국 정부와 해법을 논의 중"이라며 "해결해야할 중요한 문제가 있고 모든 계약은 중국 법에 따라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틱톡 금지법 유예 재연장에는 향후 미국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4/07/202504070031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