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트럼프 "푸틴과 2월 내 만날 것" … 우크라 패싱 반발엔 "실망"

뉴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종전 협상을 논의하기 위해 이달 안에 블라드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미국과 러시아 간 관계 개선이 뚜렷한 가운데, 종전 협상에 참여하지 못한 우크라이나의 반발에 대해선 실망했다고 말했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자신의 사저인 플로리다주 마러라고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진행된 미국과 러시아 간 고위급 회담에 대해 "매우 잘 진행됐다. (우크라이나전쟁 종전에 대해) 더 많은 자신감을 얻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장에서 많은 수의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이 사망하고 있다면서 러시아를 위해 참전한 "북한군(Koreans)도 많은 수가 사망했다. 그들은 싸우기 위해 왔지만, 많은 수가 죽임을 당했다"고 언급했다.

러시아나 북한이 북한군의 참전을 공식 확인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공식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이 우크라이나에 평화유지군을 파견하기를 원한다면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럽이) 그렇게 하고 싶다면 그것도 괜찮다. 나는 전적으로 찬성"이라며 "프랑스도 언급했고, 영국도 언급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유럽의 관점에서 보자면 (우크라이나에 유럽의) 군대를 주둔하는 것은 괜찮을 것"이라며 "우리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종전 이후 안전보장을 위해 미국을 포함한 서방국가의 군대를 평화유지군으로 배치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미국은 병력을 보내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배신당했다'고 느끼는 우크라이나인들에게 무슨 말을 해줄 수 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매우 실망스럽다. 그들이 자리를 차지하지 못한 것에 대해 화가 났다는 소식을 들었다"면서 "그런데 그들은 3년 동안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고 그보다 훨씬 오래전부터도 자리가 있었다"며 앞서 문제를 해결했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특히 현재의 정권으로는 정통성이 없을 수도 있음을 넌지시 시사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서는 선거가 치러지지 않았고, 사실상 계엄령이 선포된 상태"라며 "말하기 싫지만, 우크라이나 지도자(젤렌스키)는 지지율이 4%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19/2025021900027.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