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의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의 예상을 웃돌자 금융시장이 적잖은 충격에 휩싸였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 역시 "금리 경로가 다소 불투명해졌다"고 말하면서 불확실성까지 더해졌다.
CNBC, AP통신 등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각) 뉴욕증시는 예상 밖으로 상승한 CPI 발표 후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다시 커지면서 나스닥을 제외하고 하락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대비 225.09P(0.50%) 하락한 4만4368.5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6.53P(0.27%) 빠진 6051.97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6.09P(0.03%) 오른 1만9649.95에 폐장했다. 나스닥이 상승한 것은 주요 종목인 테슬라가 간만에 2.44% 급등했기 때문이다.
롱보우 애셋매니지먼트의 제이크 달러히드 CEO는 "시장은 연준이 추가 (기준금리) 인하를 전혀 하지 않을 가능성을 되새겨보고 있으며 이는 오늘 증시 약세의 배경이 됐다"고 말했다.
이날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미국의 1월 CPI는 전월보다 0.5% 상승하면서 시장 예상치 0.3%를 상회했다. 2023년 8월 이래 1년 6개월 만에 최대폭이다.
지난달 상승률 0.4%도 뛰어넘었다. 젼년동월에 비해서도 3.0% 올랐다. 시장 예상치는 2.9%였다.
변동성이 심한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CPI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3.3% 올라 모두 예상치를 웃돌았다.
이날 소비자물가 지표가 깜짝 상승하면서 채권수익률도 급증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국 국채수익률은 이날 오전 9시15분(미국 동부시간) 기준 4.65%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보다 0.11%P 올랐다.
시장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핵심 정책인 관세정책과 감세, 이민자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하고 있는 것도 물가 관련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4일부터 중국제품에 추가 관세 10%를 부과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하는 제품에 적용하는 25% 관세도 3월4일부터,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는 3월12일부터 발동한다.
수입품에 매기는 관세는 미국 내로 전가해 인플레를 부추길 전망이다. 미시간대 소비자 조사에서는 단기 물가전망을 나타내는 1년 후 기대 인플레율이 1~2월에 합쳐서 1.5%P 상승하는 등 이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상을 웃도는 CPI 발표로 연준이 금리인하를 사실상 중단하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오히려 다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앞서 연준은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총 1.0%P 금리를 인하한 바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5월 FOMC에서 연준이 금리를 현 4.25~4.50%로 동결할 확률을 88%로 반영했다. 이는 전날보다 10%P 오른 수치다.
실제 제롬 파월 의장은 이날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 출석해 금리를 조급히 내릴 필요가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1월 CPI 상승률이 예상을 넘었다면서도 "양호한 수치가 한두차례 나오거나 나쁜 수치가 한두번 나와도 우린 일희일비하지 않는다"고 밝히면서 신중히 정황을 해석한다는 자세를 나타냈다.
그러면서 "최근 CPI 데이터는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목표치 2%에 더 가까이 가져가는데 '큰 진전'을 이뤘지만, 아직 완전히 달성하진 못했다"며 "오늘 발표된 물가지표 역시 같은 상황을 말해준다"고 언급했다.
이어 "우리는 당분간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앞서 파월 의장은 전날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서도 금리에 대해 같은 입장을 피력한 바 있다.
당시 그는 "인플레이션 상방 압력이 있다"며 "금리인하에 신중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파월 의장은 관세가 연준의 통화정책 경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다소 불분명하다"고 답했다.
이어 "관세가 경제 전망에 영향을 미치고 연준이 통화정책을 변경하게 할 수 있지만, 중앙은행은 이민, 재정 정책, 규제 정책도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13/202502130000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