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김은경 혁신위원회'가 공천룰을 혁신위 의제로 다룰 것을 예고하면서 당내 계파 갈등이 점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현신위의 공천룰 논의 예고와 함께 친명(친이재명)계 원외 인사들로 구성된 모임이 '현역 의원 50% 물갈이', '동일 지역구 3선 이상 출마 제한' 등의 공천혁신안을 제안하면서 민주당 일각에서 반발이 나온다.
김은경 혁신위원장은 지난 18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공천룰과 관련해 "국민들이 원한다면 안 다룰 수는 없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22대 총선을 불과 9개월 앞두고 공천 제도를 손볼 수 있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혁신위가 출범할 때부터 공천룰이 혁신 의제로 다뤄질지에 관심이 집중됐다. 김 위원장은 혁신위 첫 회의에서 "공천 과정에서 현역 의원으로 대표되는 기득권 체제를 혁파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친명 색채가 강한 혁신위가 비명(비이재명)계 의원들을 물갈이 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나왔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혁신위에 전권을 위임하겠다고 밝혀 이런 주장에 더 힘이 실렸다.
이미 민주당 공천룰은 지난 5월 확정됐다. 당시 공천룰이 확정된 뒤 '이재명 방탄' 논란이 불거졌다. 민주당 총선 공천제도 TF가 공천 부적격 대상에 관한 규정에서 '1심 유죄면 부적격'이라는 내용을 삭제했기 때문이다.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등으로 1심 재판 중인 이 대표에게 총선 출마의 길을 열어준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그럼에도 이 대표의 강성지지층인 '개딸'들은 '비명계 현역의원들에게 유리하다'는 이유로 확정된 공천룰을 비판했다. 이들은 당원이 후보자 검증 과정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과 '동일 지역구 3선 이상 출마 금지' 조항이 포함되지 않은 것 등을 문제 삼았다.
비명계는 혁신위의 공천룰 재조정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 비명계인 민주당 한 의원은 19일 뉴데일리와 통화에서 "비명계를 물갈이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며 "지금 공천 룰은 이해찬 대표 때 공을 들여서 만들어 낸 시스템이다. 어떤 식으로 고치겠다는 건지 모르겠지만 의원들 반발이 거셀 것"이라고 꼬집었다.
민주당 친명계 원외 인사들이 모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는 1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이 다음 총선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현역 의원 중 적어도 50%는 물갈이되어야 한다"며 "3선 이상 다선의원은 4분의 3 이상, 즉 39명 중 30명은 물갈이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들은 동일 지역구 3선 이상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경선 때 득표율에서 50%를 감산하는 내용의 출마 제한을 요구했다. 대신 열세지역에 출마하는 3선 이상 의원에 대해선 우대 대우를 할 필요가 있다고 전제했다.
더혁신회의는 "다선의원들에게 선당후사의 정신에 충실해 주실 것을 요청드린다"며 "대대적인 물갈이를 요구하는 민심을 받아 민주당이 순항할 수 있도록 새롭고 개혁적인 인물들에게 길을 터 주실 것을 요청드린다"고 강조했다.
당 일각에서는 이 같은 공천 개혁안에 대해 "공감을 얻지 못할 것"이라는 회의적인 목소리가 나온다. 민주당 한 중진의원은 통화에서 "국정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려면 3선 이상 의원이 30%가 넘어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어 이 의원은 "오히려 초선 의원들이 매번 국회 때마다 너무 많이 들어와 '소영웅주의' 현상이 나타나면서 소란을 일으켜 국정 안정이 안 되는 것"이라며 "우리 당이 지혜와 힘을 모아도 부족할 판에 '몇 선 이상 총선 출마 제한' 이렇게 획일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민주국가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더혁신회의 측은 "공천룰을 개정하지 않을 거면 이번 혁신위가 왜 출범했는지 모르겠다"는 견해를 보였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3/07/19/202307190020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