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이버가 뉴스 알고리즘을 인위적으로 조작해 진보매체는 상위권, 보수매체는 하위권으로 검색 순위를 부여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비판 목소리를 냈다.
박 정책위의장은 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알고리즘, 극단 팬덤 끌어당기는 '갈고리즘'"을 제목으로 한 글을 게시했다.
박 정책위의장은 "알고리즘이 국민을 진영에 가두고 극단화시키는 폐단을 더 키우고 있다"며 "보수는 더 보수로, 진보는 더 진보로 끌려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자신의 세계관이 더 옳다고 믿는 '확증 편향'은 골이 더 깊어지고, 자신의 관점과 다르면 상대를 악마화하는 게 일상화되고 있다"며 "알고리즘이 갈고리처럼 여론을 한쪽으로만 끌어당기는 갈고리로 악용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정책위의장은 "알고리즘 조작 여부에 대해 특정 세력의 외압이 있었는지, 가중치 조작이 있었는지 빠짐없이 진상을 가려내야 한다"며 "필요하면 수사당국이 수사에 나서 엄정하게 조사하고 불법이 있었다면 예외 없이 단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네이버의 '뉴스 알고리즘 조작 의혹'과 관련해 실태 점검을 실시한다고 2일 밝혔다.
방통위가 포털 업체의 뉴스 알고리즘만을 대상으로 실태 점검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기통신사업법 제50조(금지행위) 및 동법 시행령 제42조에 따르면, '전기통신서비스를 이용해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자에게 불합리하거나 차별적인 조건·제한을 부당하게 부과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고 명시됐다.
방통위는 해당 규정 위반 여부를 점검하고, 위반 행위가 인정되는 경우 사실조사로 전환할 방침이다. 이어 위반행위가 사실로 확인될 경우 관련 역무(해당 서비스) 연평균 매출액 최대 3%의 과징금 부과 및 형사고발 등에 나설 계획이다.
네이버의 '뉴스 알고리즘 조작 의혹'은 지난달 30일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이 제기했다. 박 의원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는 당초 존재하지 않았던 언론사 인기도 순위를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1차 알고리즘 검토위의 지적에 따라 2019년 3월 최초로 적용했다.
박 의원은 "연관성 등의 뉴스 알고리즘에 의해 자연스럽게 경쟁력을 갖춘 언론사들의 노출 순위가 결정되는 기존의 방식이 아니라 네이버가 인위적인 방식으로 매체들의 순위를 추출해 '인기도'라는 자질을 만들고 알고리즘에 적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1~2차 알고리즘 검토위에 참여한 미디어 학자 6인은 TV조선 재승인 심사 조작에 연루된 학회 두 군데서 추천한 인사들이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들은) 민노총 언론노조의 고대영·김장겸 사장 퇴진운동까지 가담했다"며 "이러니 정치적으로 편향됐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박 의원은 "언론사들의 디지털 대응 역량이 뛰어난 것은 민주주의 국가에서 자연스러운 경쟁력으로 보는 게 합리적인데도 불구하고, 이를 곡해해서 바라보는 친(親)민주당 세력 민노총 언론노조와 MBC 스트레이트, 민주당이 지적한 그대로 네이버가 '보수 언론사 죽이기'에 나섰던 것은 아닌지 철저한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방통위 관계자는 "서면과 현장조사를 함께 진행할 계획"이라며 "확인된 내용에 따라 위반 여부를 알기까지 수개월이 걸릴 수 있다"고 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3/07/02/202307020004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