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설적, 너무나도 역설적
영화 <건국전쟁>에는 굉장히 역설적인 문구가 나온다.
[리 박사 하야, 만수무강]. 4.19 당시 “국민이 원한다면 대통령직에서 하야하겠다”라고 한 이승만 대통령의 사택(이화장) 앞에 국민들이 붙여놓은 벽보이다.
하야(下野)를 원하면 [리 박사 하야]만을,원하지 않는다면 [만수무강]만을 쓰는 게 상식적이다. 역설적인 두 개의 문구가 하나의 벽보에 담긴 장면에서, 그것이 우리 [현대사의 굴곡]이라는 생각에 울컥했다.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를 원하면서도, [만수무강]을 기원하던 4.19의 민심. 그 역설은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위해 한 몸 바친 이승만의 삶을 알아야 이해할 수 있다.
■ 가장 민주적, 가장 혁명적 개혁을 가장 온건하게신분과 남녀의 차별이 당연하던 조선 사회에서, 이승만은 누구보다 민주적인 대통령이었다. 그 핵심은 [농지개혁]과 최초의 [남녀평등 교육]에 있다.
자기 소유가 익숙한 우리에게, 일한 만큼 소득을 얻지 못한 채 평생 살아가라면 그만한 지옥이 없을 것이다. 조선 시대에는 지주의 땅에서 고된 노동을 하고 그 소득의 절반 이상을 지주에게 빼앗기는 소작농의 현실이 당연했다.
이승만은, [한반도 최초의 현대문명국가]를 세운 뒤(Nation-building) 뒤, [농지를 농민이 소유하는] 토지개혁을 단행한다.
땅이 없어 노예처럼 살던 농민을 땅을 가진 자유인으로 만드는 일, 지주와 소작농을 평등하게 만드는 개혁. 1948년의 [농지개혁]은, [가장 민주적이면서도, 가장 혁명적이면서도, 가장 온건하게 진행된] 정책이었다.
■ 지금에선 너무도 당연한 일이지만
당시 절대 다수의 독립운동가들에게도 [신분과 성별의 차별] 은 익숙한 문화였다. 오죽했으면 힘을 합쳐도 모자랄 판에 [양반] 과 [상놈] 이 따로 독립운동을 했을까.
그러나, 이승만은 달랐다.그에게,★ [양반] 과 [노비](노예) ★ [남자] 와 [여자] 는 똑같이 교육받아 국가의 주인으로 거듭나야 할 [국민]이었다.
조선의 여자들은 동물과 동일시되거나 물건으로 취급받았다. 하와이에서 이승만은 부모에게 버림받고 조선말도 제대로 못 하는 여자아이들을 데려다 교육시킨다. 조선 최초의 남녀공학 학교였다.
심지어 어린 여자아이가 미국인에게 노예로 팔렸다는 소식을 듣고, 모든 여관을 뒤져 아이를 찾아낸다. 그 아이도 교육받아야 할 국민이었기 때문이다.
한국의 여성에게 투표권이 주어진 것도, 이승만 정부가 들어서는 5·10선거부터였다.스위스 여성이 투표권을 부여 받은게 1971년이니,무려 23년이나 앞섰다.
지금에서 보면,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그렇게 공기처럼 만든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다.
■ 이씨조선 은 살이있다, 평양 에
이씨조선이라는 동일한 배경에서, 북한(김씨조선, 후기조선)과는 전혀 다른 정치체제의 현대문명국가 탄생한 이유는 무엇일까. 대한민국에는 [자유와 민주]를 몸으로 지켜낸 [건국 대통령]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승만의 [만수무강]을 기원한 국민의 반응은 전혀 역설적이지 않다. 차별받던 이들에게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는 그만큼 소중했다.
<건국전쟁>의 하이라이트. 현대사의 역설이 고스란히 담긴 장면이 나온다.
자유당 이 쳐놓은 [인의 장막] 에 갇혀있던, 고령의 이승만 대통령은 3·15선거 이후 부정선거의 진실을 알게 된다. 4·19 시위에서 부상을 당해 입원한 학생을 바라보며 눈물을 흘리던 대통령. 여파를 걱정하는 이에게 “불의를 보고 싸울 줄 아는 우리 젊은이들의 정신이 살아있음이 오히려 기쁘다”라던 이승만.
그의 뒤안길에 국민들은 [리 박사 하야, 만수무강]을 보냈다.
■ [자유와 민주]의 무게
[자유와 민주]란 이런 것이다. 입으로만 “평화, 평등”을 외쳐야 자유민주주의가 아니다.
물건 취급받던 어린아이가 교육을 받아 국민이 되고, 지주의 노예로 살던 농민들이 자신의 땅을 소유하게 된 개혁. 우리 건국과정이 빚어 놓은 자랑스러운 자유민주주의의 한 장면이다.
오늘날 입으로만 ‘민주’를 외치고 실제론 '전체주의적 행태' 를 취하는 이들에게 자유민주주의라는 단어가 아까울 때가 너무도 많다. 그렇기에 [하야]와 [만수무강]이 함께 담긴 장면에서 마음이 아려왔다.이승만 대통령을 비롯한 건국 1세대들이 짊어졌던 무게가 영화 <건국전쟁>에 녹아있다.
차별이 당연하던 시기에, [자유와 민주]를 몸으로 지켜낸 건국의 세대들. 그 자유민주주의를 당연히 누리는 우리가, 역설이 가득한 [건국의 시대]를 언제쯤 이해할 수 있을까.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4/03/08/202403080015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