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이러다 내년 선거 완전히 망한다" … '민심이반' 트럼프 관세에 공화당도 반발

뉴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주식시장이 폭락하고 인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되면서 당세가 취약한 경합지역을 지역구로 둔 공화당 의원들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주변 인사들 그리고 '트럼프 관세' 정책지지 의원들은 단기적인 고통보다 장기적인 이익이 클 것이며 미국이 새로운 번영의 시대를 열 것이라고 하지만, 내년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의원들로선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 일부 경합주의 공화당 의원들은 이미 관세 문제에 대해 압박받고 있다고 의회 전문매체 '더힐'은 6일(현지시각) 전했다.

버지니아주의 경합지역이 지역구인 공화당의 젠 키건스 하원의원은 최근 전화 타운홀 행사에서 '인플레이션을 초래하는 관세정책'에 대한 입장이 뭐냐는 질문을 유권자로부터 받았다.

이에 키건스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장기적인 게임을 하고 있으며 제조업이 쇠퇴하는 가운데 일자리와 기업을 위해 싸우고 있다고 대답했으나, 단기적으로는 우려와 불안·두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인정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했듯이 중국이 미국에 67%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해 대통령선거 당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이겼던 네브래스카 지역을 대표하는 단 베이컨 하원의원은 트럼프 2기 정부의 일부 정책 방향을 평가하면서도 "네브래스카 주민들은 무역분쟁이 아닌 자유무역협정을 원한다"고 말했다.

상원 공화당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친(親)트럼프 인사인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공화, 텍사스)은 5일 자신의 팟캐스트에서 "앞으로 30일, 60일, 90일 후에 미국이 대규모 관세를 부과하고 세계 각국이 미국산 제품에 맞서 보복관세를 부과하는 상황이 온다면 매우 끔찍한 일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미국 내 물가 상승과 일자리 감소로 미국 경제가 침체에 진입하면 내년 말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패할 가능성이 커진다면서 "중간선거가 대참사가 될 가능성이 커진다"고 우려했다.

폴리티코는 크루즈 의원의 발언이 "대통령의 무역전쟁으로 인한 경제적·정치적 충격이 본격화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지지자들조차 입장을 바꾸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크루즈 의원은 상원 상무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인물로,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지지자라고 자처해왔다. 2016년 대선에 출마했던 크루즈 의원은 공화당 경선 과정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날 선 공방을 주고받으며 정치적 앙숙이란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경선에서 중도 하차한 뒤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 의사를 밝히며 그의 우군으로 돌아섰다.

제리 모란 상원의원(캔자스)은 다른 국가들이 미국을 이용하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에는 타당성이 있지만, 자신의 지역구민 상당수가 그의 관세정책이 지나치게 공격적이라고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실상 '트럼프당'으로 불리는 공화당 내에서 상호관세 등 트럼프 관세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경제 조치로 민심이반(民心離反)현상이 관측되기 때문이다.

미국 증시 폭락을 가져온 상호관세가 발표되기 전인 지난달 말 공개된 AP통신의 여론조사에서 경제 분야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40%에 그쳤다.

한 공화당 전략가는 더힐에 "이 문제가 너무 오래 지속돼 사람들 마음에 굳어진다면 이후 상황이 완화되고 나아가 이전과 비슷해지더라도 공화당은 위험에 처하게 된다"며 "반면 내년 중간선거 때 단기적인 고통이 있거나 인플레이션이 존재한다면 공화당은 완전히 망할 것(wipe out)"이라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이날 보도에서 "공화당 의원들 사이에서 관세에 대한 일부 저항이나 작은 반대의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향후 더 커질 수 있다"며 "공화당의 성패는 기본적으로 관세 및 경제 상황과 맞물려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대통령 승계 서열 3위인 척 그래슬리 상원의원(아이오와)은 3일 민주당 마리아 캔트웰 상원의원(워싱턴)과 함께 대통령의 관세부과 권한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은 초당적 법안을 공동 발의했다.

'2025 무역검토법'으로 명명된 이 법안은 대통령이 부과하는 관세에 대한 최종 승인을 의회에 부여하는 것을 골자로, 대통령은 새로운 관세 부과시 48시간 이내에 의회에 통보해야 한다.

그래슬리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의회는 무역문제에 관한 통상조항을 통해 헌법상의 역할을 갖고 있다"며 "우리는 그 역할을 다시 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톰 틸리스 공화당 상원의원(노스캐롤라이나)도 "의회가 이 문제에 대해 발언권을 가져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면서 다른 공화당 의원들이 해당 법안에 서명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4/07/2025040700056.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