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관련해서 3가지 정책을 제안 드립니다
제가 제안드리는 부분은 의대 지역인재 폐지/정시 비율 확대/정시 내신 반영 폐지입니다
1. 의대 지역인재 폐지
의대 지역인재는 지원자가 해당 지역 출신이 아니면 지원할 수 없는 정책입니다
평균적으로 60%이고 심한 지역은 80% 가까이 되서 상당히 수도권 역차별적입니다
찬성론자들이 주장하는 도입 효과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반론도 같이 기재하겠습니다)
1)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인구 유입 활성화
>> 기대 효과와 달리 지방으로 내려가는 수가 많지 않음
아울러 수험생들이 자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어서 상당히 불공정함
부모 입장에서도 일자리, 서울 집을 포기하고 내려가기 쉽지 않음
집이 부유해 위장전입할 수 있는 경우만 상당히 이득입니다
입시가 돈에 영향을 받는 건 아닌 것 같습니다
2) 해당 지역 출신은 해당 지역에 남음
>> 더 좋은 수련환경, 더 좋은 일자리가 있으면 지방 출신들도 수도권 갑니다
의정갈등으로 빅5 TO 비니 상당수가 수도권으로 올라가지 않나요?
그리고 서울대 의대/부산대 의대 붙으면 부산 출신 학생이 지역에 남을까요?
99.99%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더 좋은 수련환경, 더 좋은 일자리가 있으면 수도권 갈 거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의대 증원으로 재학생 수가 많아졌는데 환자가 없는 지역에서 그 수를 다 수용가능할까요?
어차피 일부는 수도권으로 올라가야 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환자가 없는데 적자를 감수하고 그 지역에서 개원할까요?
일부 사람들이 지역에 남는다는 통계를 들고 오는데
인턴/레지던트들의 남는 비율이 높은 거는 높은 확률로 자교 출신 병원에서 수련하기 때문입니다
안 가는 게 아니라 못 가서 남는 겁니다
그걸 지역에 남는다고 왜곡되게 해석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2. 정시 비율 확대
정확히는 수능 100%로 반영하는 정시 비율을 확대해주세요
적어도 70%는 가져가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애초에 수시는 내신/학생부 기반으로 평가하는데
내신은 학교마다 천차만별이어서 객관적인 평가가 힘듭니다
만약 학생부로 좋은 학교인지를 특정할 수 있으면 그건 고교 서열화의 문제가 아닌가요?
좋은 고등학교에 다니지 않으면 페널티를 받는다는 소리잖아요
출신 학교를 특정해서 판단할 수 있다고 해도 내신으로 평가하는 것 자체가 문제입니다
아울러 학생부나 면접은 너무 주관적입니다
수시는 입시 비리에 너무 취약하지 않나요?
문재인 정부 때 떠들석한 입시 비리가 좋은 예시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수시 비율이 높으면 학교별 내신 관리, 학생부 컨설팅 등 사교육 의존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부모의 재력, 정보 등으로 학생부를 부모 및 컨설팅 업체가 디자인하는 게 공정한 입시인가요?
스카이캐슬이라는 드라마가 그 부분을 적나라하게 묘사한 것 같습니다
특히 논술 같은 경우는 공교육 대비가 힘들고 대치동 사교육을 받지 않으면 대비가 힘들어
돈에 많이 좌지우지 하게 되고 지방 역차별이 심각한 부분입니다
논술 같은 경우는 첨삭이 필요해 인강으로도 대비가 힘듭니다
이래서 대치동이나 재수학원을 갈 수 있는 여유가 없으면 대비가 힘든 게 현실입니다
논술 범위로 고교 범위 내로 낸다고 해도 논술 대비를 사교육에서 하냐 안 하냐가 큰 차이가 있습니다
수시가 저소득층에게 유리하고 공정한 전형이 아닙니다
서울대 같은 경우 수시 일반형에서는 수능 최저를 안 보는데
지방 일반고에서 1등급 맞는다고 수능 성적에 관계 없이 합격시키는 게 맞나요?
서울대 같은 대한민국 최고 대학이 성적순으로 학생을 뽑는 게 아니라
지방 다양성을 추구하는 게 맞나요?
더 높은 수능 성적을 받아도 지역 차별로 페널티를 받는 게 맞나요?
특히 카이스트 같은 경우, 수시 비율이 너무 높습니다
최소 50% 이상으로 정시 비율을 확대해주세요
50%만 수시로 뽑아도 과학고/영재고에서 충분히 좋은 학생들을 뽑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의대가 목표인 학생들은 과학고/영재고를 가지 않기 때문에
과학고/영재고 출신이 아닌 학생들 중에도 좋은 인재가 많습니다
나중에 의대에서 이공계로 꿈이 바뀔 수도 있는 거잖아요
과학고/영재고 아닌 학생들한테도 들어갈 충분한 기회를 주세요
과학고/영재고 아닌 재학생들, N수생들에게는 입학의 문이 너무 좁습니다
수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에 생기부 디자인이 잘못 되면 가기가 너무 힘듭니다
불공정한 내신으로 인한 폐해도 그렇고요
3. 정시 내신 반영 폐지
문재인 정부 때 정시 비율을 높이라고 지시했는데
서울대를 필두로 정시에 내신을 섞는 꼼수를 부렸습니다
정시에 내신을 섞으면 그게 정시인가요?
내신으로 합격에 영향이 가면 그게 수시지 정시인가요?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내신은 학교마다 천차만별이어서 객관적인 평가가 불가능합니다
아울러 수시 비율이 이렇게 높고 내신이 광범위하게 사용되니 사교육 의존도가 점점 커지는 것입니다
학교마다 내신 경향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대비하려면 학원을 다닐 수 밖에 없습니다
학원을 다니는 게 절대적으로 유리하니까요
연세대 같은 경우는 정량평가여서
특목고/자사고/학군지 1등급=일반고 1등급입니다
이게 맞나요?
그리고 한 번 내신을 망치면 그게 낙인처럼 따라다닙니다
특히 서울대 같은 경우는 평생 가고요
뒤늦게 노력한 학생에게도 기회를 주세요
수능은 매년마다 초기화되는데 왜 불공정한 내신은 평생 가나요?
졸업한지 10년 넘은 사람들이 10년 전 내신으로 대학을 가는 게 맞나요?
정시 전형에서 내신 반영을 못하게 해주세요
홍준표 후보자님이 대통령에 당선되시면 더 공정한 입시환경이 조성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해당 정책들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우시면 수도권 학부모 및 수험생들에게
상당한 지지를 받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아울러 대구 수성구도 학군지 아닌가요?
공부를 열심히 해 높은 성적을 받은 학생들이 타 지역 의대에 지원할 때 차별을 받는 게 현실입니다
대구 시민들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이기도 합니다
마찬가지로 잘 어필하면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정책이기도 하고요
정시 비율이 확대되면 수성구에서 더 많은 학생들이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을 겁니다
공부를 열심히 해 더 높은 수능 성적을 받은 학생이 좋은 대학을 가는 게 정의 아닌가요?
당 경선부터 홍준표 후보자님을 지지하겠습니다
공정한 대한민국, 사다리가 있는 대한민국을 만들어주세요
동의합니다. 정시에 내신 반영하는 것은 수험생들에게 매우 잔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