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이란, 트럼프 '최대 압박' 정책에 강대강 대응 … "핵무장 외 대안 없다"

뉴데일리

핵무기 개발을 중단하지 않으면 폭격과 '2차 관세'를 가할 것이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으름장에 이란이 피격시 핵무장 외에 다른 대안이 없음을 경고하면서 강대강 대치에 나섰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이란 최고지도자 알리 호세인 하메네이의 선임 고문인 알리 아르데시르 라리자니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각) 이란 국영 TV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핵) 무기를 지향하지는 않지만, 이란 핵 문제에 있어 당신들이 잘못된 무언가를 한다면 이는 이란을 그쪽으로 몰아가게 될 것"이라며 "왜냐하면 이란은 스스로를 방어해야만 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란 국영 IRNA통신은 라리자니 고문이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 이스라엘이 반(反)이란 발언과 위협을 계속하고 있는 것에 대응해 이런 말을 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라리자니 고문은 이란이 그동안 하메이니 지도자가 내린 종교적인 지시에 따라서 핵무기를 새로 구하거나 만드는 일을 엄격히 금지해 왔다고 말했다.

그는 "이란은 그렇게 하길 원하지 않지만 (공격을 받을 때) 다른 선택지가 없을 것"이라며 "어느 시점에 당신(미국)들이 독자적 또는 이스라엘을 통해 (이란에) 폭격을 하는 쪽으로 향한다면 당신은 이란이 이런 결정을 하도록 강요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이란에 대한 어떤 공격도 그 결과에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면서 이란의 핵 프로그램은 (미국의) 폭격 정도로는 파괴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미국 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이란이 핵무기를 개발하지 않겠다고 미국과 합의하지 않으면 이란에 '전례 없는 군사공격'과 함께 2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이에 이란 최고지도자 하메네이는 31일 방영된 이드 알 피트르(라마단 종료를 축하하는 이슬람권 명절) 연설에서 "그들은 '나쁜 짓(mischief)'을 하도록 위협하고 있다"며 "미국이나 이스라엘의 어떠한 공격에도 확고한 보복공격으로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천명한 바 있다.

이란 외무부 대변인도 엑스(X, 옛 트위터)에 트럼프 대통령의 위협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보의 그야말로 본질에 대한 충격적인 모욕"이라면서 미국이 '폭력'의 길을 택할 경우 후과가 있을 것이라고 맞받으며 강대강 대결 수위를 끌어올렸다.

이란 외무부는 또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이후 이란에서 미국의 이익대표부 역할을 하는 테헤란 주재 스위스대사관의 대사대리를 불러들여 항의하기도 했다고 AFP는 전했다.

이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의 책임자인 이란 혁명수비대(IRGC)의 아미르 알리 하지자데 항공우주군 사령관도 이날 국영 TV에 출연해 "미국은 이란 주변 지역에 최소 10개의 기지와 5만명의 병력을 두고 있다. (모든 것이 훤히 보이는) 유리방에 있는 사람은 누군가를 향해 돌을 던져서는 안 된다"는 말로 미국의 공격을 받으면 이란군이 확보된 정보를 토대로 대응에 나설 것을 시사했다.

아미르 사이드 이라바니 유엔 주재 이란 대사도 이날 유엔에 보낸 서한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국제법과 유엔 헌장을 위반하는 무모하고, 호전적인 발언을 했다고 비판하면서 "이란은 어떠한 군사적 모험주의에도 반대하며 미국 또는 미국의 대리세력인 이스라엘이 이란의 주권과 영토, 국익을 침해하거나 공격할 경우 신속하고,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이란은 2015년 핵 프로그램을 동결·축소하는 대신 서방이 부과한 제재를 해제하는 조건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과 독일 등 6개국과 핵 합의(JCPOA, 포괄적공동행동계획)를 타결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시절인 2018년 핵 합의를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대(對)이란 제재를 복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월 백악관에 복귀한 뒤에도 이란 핵무기 개발을 저지하고 핵 합의를 끌어내려는 목적으로 이란을 상대로 '최대 압박' 정책을 펼치며 1기 때의 강경정책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초에는 '2개월 시한'을 제시하면서 핵 협상을 촉구하는 서한을 이란 측에 보낸 미국은 이란이 협상에 응하지 않을 경우 군사행동을 할 수도 있다고 통첩했다.

이에 이란은 미국의 '최대 압박' 기조가 유지되는 한 직접 협상은 없다면서도 간접 협상에는 문이 열려 있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다만 미국 정부가 먼저 과거의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고 상호신뢰를 회복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4/01/2025040100078.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