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외교 행보를 공개적으로 비판한 노벨 평화상 수상자가 미국 비자 취소 통보를 받았다. 당사자는 담담했지만, 정치적 '보복성 조치'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오스카르 아리아스(84) 전 코스타리카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수도 산호세 자택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최근 미국 비자가 취소됐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트럼프 정부가 점점 독재 정권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어차피 미국에 갈 계획이 없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큰 영향이 없다"며 "취소 사유도 알지 못하고, 코스타리카 정부가 개입한 정황도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현지 언론들은 최근 아리아스 전 대통령이 트럼프 전 대통령을 겨냥한 비판 발언을 내놓은 점에 주목하고 있다. 그의 발언이 미국 측의 비자 취소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아리아스는 지난달 4일, 로드리고 차베스 현 대통령의 대미 외교를 "복종적"이라고 비판하며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서도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그는 페이스북에 "작은 나라가 미국과 다른 의견을 내는 일은 본래 어렵지만, 트럼프처럼 로마 황제처럼 명령조로 지시할 경우는 더욱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내가 대통령이었을 당시, 코스타리카는 '바나나 공화국;이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바나나 공화국은 정치적으로 불안정하고 외세에 의존하는 중남미 국가를 경멸적으로 부르는 표현이다.
그는 또 "미국은 적을 설정하는 국가이며, 현재 그 대상은 중국"이라며 "미국은 중국 위협론을 이용해 군비 증액을 정당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발언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외교안보 책임자인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코스타리카를 방문한 시점에 나왔다. 이후 코스타리카 정부는 미국이 추방한 제3국 출신 이민자 수용 방침을 밝혔다.
아리아스 전 대통령은 1980년대 중미 내전을 평화적으로 중재한 공로로 198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이후 ‘오스카르 아리아스 평화재단’을 설립해 군비 축소와 평화 증진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한편, 그는 2019년 과거 성추행 혐의로 피소됐지만 고소인 취하와 검찰의 공소 취소로 무혐의 처분을 받은 바 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4/02/202504020023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