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분신 같은 사람' 김용 2심 유죄 법정 구속 … 이재명, 이제 "하급 직원일 뿐" 발뺌할 건가

뉴데일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인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2심에서 징역 5년을 선 받으면서 이 대표를 향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대북 송금 사건에서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중형을 선고받은 데 이어 김 전 부원장도 법정 구속되면서 이 대표가 대선 출마를 포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서울고법 형사13부(재판장 백강진)는 지난 6일 정치자금법 위반 및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뇌물 혐의로 기소된 김 전 부원장에게 징역 5년에 벌금 7000만 원, 추징금 6억7000만 원을 선고했다.

2021년 민주당 대선 예비 경선 전후로 이 대표의 측근인 김 전 부원장이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과 정민용 변호사와 공모해 남욱 변호사로부터 총 8억4700만 원의 불법 선거 자금을 받았다는 혐의로 기소됐다. 남 변호사는 대장동 민간사업자로 대장동 개발 의혹의 핵심 인물이다.

김 전 부원장은 이 대표가 '분신 같은 사람'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각별한 애정을 보인 인물이다. 그는 이 대표가 성남시장 경기도지사, 민주당 대선후보를 거치면서 가장 가깝게 이 대표를 보좌했다. 성남시장 시절에는 성남시의원, 경기도지사 당선 후에는 경기도 대변인을 지냈다. 대선 당시 이재명 캠프에서는 총괄본부장을 맡았다.

이 대표도 신뢰를 보였다. 그는 "2020년 1월 김 부원장의 출판기념회 축사를 하면서 김 부원장에 대해 "제 분신과 같은 사람이어서 앞으로 큰 성과를 만들어낼 아주 유용한 재목"이라고 말했다.

대장동 개발 의혹이 커지는 상황에서 진행된 2021년 기자간담회에서는 "측근이라면 정진상(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 김용 정도는 돼야 하지 않느냐"고 했다.

이런 모습은 이 대표가 성남시장 시절 호주 출장에 동행했던 고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1처장을 몰랐다고 한 점과 대비된다.

이 대표는 2022년 대선 과정에서 방송에 출연해 대장동 실무자인 김문기 전 성남도개공개발 1처장을 성남시장 시절 알지 못했다고 했다가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 혐의로 기소됐다.

재판 과정에서 이 대표는 김 전 처장을 '하급 직원'이라고 부르며 모르쇠로 일관했다. 그는 "김문기는 유동규를 수행하는 사람인데 유동규를 지원하는 하급 실무자가 시장과 무슨 관계가 있나, 과도한 억측"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가 아끼는 김 전 부원장의 구속으로 여당은 공세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지난 7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선거로 죄악을 덮어보려는 도피성 출마의 꿈은 이제 포기해야 한다"면서 "종범(남의 범죄 행위를 도운 범인)이 이 정도 중형이 나왔다면 주범인 이재명 대표는 당연히 그 이상의 중형이 선고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2022년 10월 민주당 의원 24명과 수백 명의 지지자는 대장동 위례신도시 부패와 연루된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에 대한 압수수색을 8시간 대치 끝에 좌초시켰다"면서 "민주당이 김 부원장 하나를 보호하고자 이러한 무리수를 두었겠나. 수사가 이 대표를 향해 갈 수밖에 없으니 육탄 방어를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주당 내에서도 김 전 부원장의 중형 선고를 두고 고심이 크다. 김 전 부원장의 재판이 이 대표의 대장동 재판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서울중앙지검은 2023년 3월 이 대표를 특경법상 배임·이해충돌방지법 위반 등 5개 혐의로 불구속기소 했다.

민주당은 김 전 부원장이 중형을 선고받고 구속된 다음 날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재판 결과와 관련한 언급을 당 지도부가 아무도 하지 않고 침묵했다. 관련한 논평도 전혀 내지 않았다.

비슷한 사례의 이화영 전 부지사와 전혀 다른 반응이다. 민주당은 대북 송금 사건에서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및 정치자금법 위반, 외국환거래법 위반 등 혐의로 징역 7년 8개월을 선고받은 이 전 부지사를 감싸왔다.

수사 과정에서 이 전 부지사의 진술이 검찰에 의해 조작됐다는 '회유 의혹'을 제기하며 진상조사단을 꾸려 대응하기도 했다. 이 대표는 지난해 6월 대북 송금 사건과 관련해 제3자 뇌물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의 한 재선 의원은 뉴데일리에 "당에서 재판 결과를 두고 이 상황에서 무슨 왈가왈부를 할 수 있겠느냐"면서 "결국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는 점은 당내 모든 사람이 알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7/2025020700142.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