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돼지새키 아침에 또......

profile
정지혁 자유위원

IMG_6375.jpeg.jpg

북한이 전날 밤부터 3차 대남 '오물 풍선' 살포를 재개한 가운데, 지난 8일부터 9일까지 오물 풍선 330여개가 뿌려진 것으로 파악됐다.

합동참모본부는 9일 국방부 출입기자단에 배포한 문자메시지를 통해 "북한의 대남 오물풍선이 8∼9일간 식별돼 우리 군은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조해 조치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늘 오전 10시까지 북한 측은 330여개의 오물풍선을 띄운 것으로 식별됐고, 현재 공중에서 식별되고 있는 것은 없다"며 "현재까지 우리 지역에 낙하된 것은 80여개"라고 전했다.

 

 북한이 살포한 오물 풍선의 상당수는 바다 혹은 북한 지역에 낙하한 것으로 보인다.

합참 관계자는 "바다에 다수 떨어졌고 북한 지역에 낙하한 것도 있을 것"이라며 "상당수가 목표지역으로 가지 못해 북한의 오물풍선은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합참은 "확인된 풍선의 내용물은 폐지, 비닐 등의 쓰레기이며, 분석결과 안전에 위해되는 물질은 없었다"고 밝혔다.

북한은 국내 민간 단체의 대북전단 배포를 빌미로 지난달 28∼29일과 이달 1∼2일, 두 차례에 걸쳐 대남 오물 풍선을 날렸고 약 1천개가 남측에서 식별됐다.

 

이후 오물 풍선 살포를 잠정 중단한다면서 다시 대북 전단이 온다면 "백배의 휴지와 오물량"을 다시 살포하겠다고 위협했다.

그런데도 국내 민간 단체들이 지난 6∼7일 대형 풍선에 대북 전단을 달아 북한으로 보내자 또다시 대남 오물 풍선을 살포한 것이다.

합참은 "북한의 추가 오물풍선 부양에 대비하고 있다"면서 "국민들께서는 적재물 낙하에 주의하시기 바라며, 떨어진 풍선을 발견하시면 접촉하지 마시고, 가까운 군부대나 경찰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장호진 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확대회의를 열어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등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대통령실이 북한의 대남 오물 풍선 살포에 대응하기 위해 NSC를 가동한 것은 지난 2일 이후 7일 만이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두 번째로 대남 오물 풍선을 살포한 이후 북한의 도발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2018년에 남북이 체결한 '9·19 남북군사합의' 모든 조항의 효력정지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군사합의에 따라 금지된 남북 접경지에서 군사훈련을 재개할 수 있게 됐다. 군은 이달 중 서북도서와 군사분계선 일대 등 남북 접경지역 내 훈련을 재개할 방침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7/0001048984?type=breakingnews&cds=news_edit 

댓글
2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