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개딸 잡다가 중도층 떠난다 … 민주당 '당원권 강화' 성패 주목

뉴데일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국회의장 경선 결과에 반발해 탈당한 당원들이 2만 명을 넘어서자 '당원권 강화'를 내세우며 연일 '당심 달래기'에 나서고 있다. 이를 두고 당 일각에서는 강성 당원들의 입김이 세지면서 중도층 이탈이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표는 전날 페이스북에 "탈당자 총수가 2만 명을 넘어서는 것도 문제지만 탈당자 중에는 민주당과 함께 수십년 풍파를 견뎌온 백전노장들이 많아 당혹스럽다"며 "당원들의 주권 의지가 제대로 발현될 수 있도록 당원들의 의지를 모아 당 제도를 정비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구체적으로 당원과의 소통 창구를 위한 당원국 설치, 당 내 선거나 정책 결정 과정에 당원의 역할과 책임을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국회의원 투표로 진행되는 국회의장 후보 경선이나 원내대표 선거에 당원 의견을 반영하는 안도 검토 중이다. 민주당은 전날 "당원의 의사가 민주적으로 반영되는 시스템을 더욱 확대하고 강화한다"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이처럼 민주당이 '당원권 강화'를 강조하고 나선 이유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국회의장 경선에서 탈락한 뒤 강성 당원들의 탈당 행렬이 이어지면서부터다. 추 전 장관을 지지했던 강성 당원들은 우원식 의원이 국회의장 후보로 당선되자 잇따라 탈당을 선언했다. 경선 후 한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급락했다는 결과가 나왔는데, 강성 당원들의 반발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민주당 내에서는 '당원권 강화'로 이 대표의 강성 지지층인 '개딸'(개혁의딸)의 팬덤 정치에 힘을 실어주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그러한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한 민주당원은 최근 박주민 의원 지역구 사무실 앞에 항의성 대자보를 붙였다. 박 의원이 국회의장 후보 경선에서 추 전 장관을 뽑지 않았다고 단정하며 이에 항의한 것이다.

민주당이 지난 22~23일 진행한 당선인 워크숍에서도 당원권 강화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가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한 의원은 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분임 토의 때 중도층 이탈 가능성에 대해 언급한 사람들이 있었다"며 "선거는 당원만을 대상으로 치르는 게 아닌 만큼 당원 의사 반영을 어디까지 해야 할지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앞서 민주당 출신인 김진표 국회의장은 퇴임 기자간담회에서 "팬덤이 국회의원 당선에 기여한 비율은 0.1% 미만"이라며 "국회의원 득표 중에 90~95% 정도는 당원도, 팬덤도 아닌 일반 국민의 지지를 받아서 당선된 것이다. 누구의 대표인지 (생각하고)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4/05/24/2024052400086.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