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영어상용도시 부산’ 정책에 국어단체·시민단체 반발

profile
박지후대세

‘영어상용도시 부산’ 정책에 국어단체·시민단체 반발

n.news.naver.com

원본보기

박형준 부산시장(왼쪽)과 하윤수 부산시교육감이 영어상용도시 조성에 협력하기로 했다. 부산시
부산시가 부산시교육청과 손잡고 추진을 선언한 ‘영어상용도시 부산’ 정책에 대한 국어단체·시민단체의 반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글문화연대는 29일 부산시청 앞에서 부산지역 34개 시민단체 및 76개 국어단체와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영어 상용도시 정책의 즉각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많은 도시에서 실패한 사업을 답습하는 정책으로써 예산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영어 사교육 부담을 키우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공공기관에서 영어 상용을 주도하면 공적인 의사소통에서 시민 불편을 초래하고 국민 알 권리를 침해하며 행정의 본질적 기능이 왜곡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단체들은 실정법인 국어기본법을 어기고 국어 발전을 가로막는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국어기본법 14조에는 ‘공공기관이 작성하는 공문서는 한글로 작성하도록 한다’고 하고 있고 제4조 1항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변화하는 언어 사용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국민의 국어능력의 향상과 지역어의 보전 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단체들은 “부산시는 공문서에서 외국어 남용이 가장 심한 지자체”라며 “영어 상용을 추진하면 이 규정을 밥 먹듯이 어길 것”이라고 지적했다.이들은 ‘글로벌 빌리지’란 이름의 영어마을 확장 계획도 경기도 등 다른 지역에서는 모두 실패로 끝난 사업의 답습이라고 지적했다. 또 어린이 복합문화공간인 ‘들락날락’을 영어 체험장으로 삼겠다는 발상도 조기 영어교육 열병을 다시 퍼뜨릴 위험이 크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정책을 철회하지 않는다면 전국적인 반대 시민운동을 벌이겠다고 했다.

이들 단체는 부산지역 공공기관에서 추진하는 정책 이름과 사업명, 공공시설물 명칭이나 행정 용어 등에 사용한 불필요한 외국어를 없애달라고 요구했다. 부산은 광안대교를 다이아몬드 브릿지로, 달맞이길을 문탠로드로 바꿔 부르고 센텀시티, 마린시티, 에코델타시티, 그린시티 등 외국어를 조합한 지역명도 타 도시와 비교해 많다는 지적을 받는다. 여기에 휴먼브릿지, 금빛노을브릿지, 사상리버브릿지, 감동나루길 리버워크 등 신규 시설에도 외국어 명칭을 예고하는 등 영어를 가장 사용하는 도시로 꼽힌다.

원본보기

이윤재 청년산학국장이 영어상용도시 부산 추진방안을 브리핑하고 있다. 부산시
반면 부산시는 최근 영어상용화추진 전담팀을 구성한 데 이어 부산시교육청 관련 부서와 협의해 전문가 지원단을 구성할 계획이라고 이날 밝혔다.

우선 이윤재 청년산학국장은 “영어 상용도시는 모든 문서와 소통을 영어로 하자는 영어 공용도시와는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세계적 수준의 ‘영어교육환경’과 ‘영어 소통환경’ 구축이 목표”라면서 “외국인들이 부산에 와서 다양한 공적 업무를 수행하는데 영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정주 불편함이 없는 영어 친화적인 환경을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 국장은 “아이들의 영어교육도 과거와 같은 문법 위주의 시험문제를 잘 푸는 교육이 아니라, 어려서부터 실생활의 의사소통 중심으로 영어를 배우고 활용하는 여건을 조성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올해 안에 세부 추진전략과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다음 달 중 관련 용역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는 지난 9일 부산시교육청과 업무협약을 하고 부산형 영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수 인력 역량 강화, 체험 행사 확대, 거점별 영어 학습공간 조성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시는 영어 상용도시 추진에 대한 일부의 우려를 해소하고자 한글 관련 단체를 포함한 여러 단체와 지속해서 소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공문서 영어 서비스는 투자유치과, 외교통상과 등 해외 관련 부서의 한글 공문서 가운데 번역이 필요한 공문서에만 적용한다고 설명했다.


댓글
3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