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우상호 "우리로선 특별감찰관 없이 김건희 여사가 계속 사고 치는 게 더 재미있어…국가 위상 때문에 만들자는 것"
n.news.naver.com
김혜경씨 '법인카드 의혹' 수사 관련 "이재명 후보나 부인이 기소될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
원본보기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은 23일 국민의힘 주호영 비상대책위원장이 특별감찰관과 북한인권재단 이사를 동시 임명하자고 제안한 것에는 "본인들에게 좋은 일인데 왜 다른 조건을 붙이느냐"며 "하기 싫으신가보다 하고 정치적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 위원장은 이날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 인터뷰에서 "저희 입장에서는 특별감찰관 없이 김건희 여사가 계속 사고 치는 게 더 재미있다"며 "그러나 국가의 위상에 있어서 그런 일이 없도록 만들자는 일종의 충고인데, 거기에 다른 조건을 붙이는 것은 주호영 위원장답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재인 정부는 왜 5년간 특별감찰관을 임명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저희는 특별감찰관보다는 공수처라는 공공적 수사기관을 만들어 모든 것을 감시하고 견제하려 한 것"이라며 "지금 보니 김건희 여사는 공수처의 감시·견제로는 안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최근 대통령실 인사를 두고는 "국민이 쇄신을 요구했는데 김은혜 홍보수석을 임명한 것은 오히려 측근을 보강한 것"이라며 "사소한 건 변화시켰는데, 본질적이고 본인과 관련한 것은 바꾸려고 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충성하는 동생을 챙기는 것은 검찰총장의 모습이고, 대통령이 돼서는 국민이 원하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며 "어찌 검찰 때 충성을 다하던 동생들을 데리고 한 나라를 이끌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재명 당 대표 후보 부인 김혜경씨를 둘러싼 이른바 '법인카드 의혹' 수사와 관련해선 "이 문제에 대해 이 후보나 부인이 기소될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우 위원장은 "제가 그 사안에 대해 잘 안다. 대선 때 총괄본부장으로서 내용을 봤고 부부의 대국민 사과 과정도 의논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원본보기
우 위원장은 "법인카드 사안은 잘못된 행위이지만 이 후보나 김씨가 직접 개입하거나 지시한 사건은 아니다"라며 "물론 비서가 법인카드로 계산한 음식을 드신 경험은 있기에 정치 도의적 사과를 한 것이지, 카드를 쓰라고 지시한 적은 없다"고 설명했다.
우 위원장은 일부 지지층 사이에서 '기소 시 당직 정지' 당헌 개정 수정안에 반발하는 움직임이 나오는 것에 대해서는 "이 사안은 이미 당의 비대위, 당무위를 거쳤고 내일 중앙위에서 결정이 내려지기 때문에 재론하기 어렵다"며 "적어도 검찰이 정치적 기소를 한 사건은 징계하지 않도록 만들었으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박용진 당 대표 후보가 '권리당원 전원투표 우선' 당헌 개정안에 반발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른바 강성당원, 적극적 의사표현층이 5만∼7만명인데, 저희 당원이 120만명 정도 된다"며 "100만명 당원에게 투표를 시켰는데 4만∼5만명이 주도할 거라고 보지는 않는다"고 반박했다.
전당대회 투표율이 저조하다는 지적에는 "전당대회 경선의 치열함이 필수요건은 아니다. 된 다음에 얼마나 잘하느냐가 중요하다"며 "승부가 조금 일찍 결정된 느낌이 드는 것이 투표율 저조에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과거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박 원내대표도 이날 정책조정 회의에서 "특별감찰관 추천 절차를 시작할 것을 국민의힘에 제안한다"며 "(국민의힘은) 북한인권재단 이사 임명을 특별감찰관 임명과 연계하는 구태를 더이상 반복하지 말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는 "대통령실을 둘러싼 여러 의혹은 특별감찰관만으로 수습 가능한 수준을 이미 넘어섰다"며 "특별감찰관을 임명한다고 해서 그동안 비선과 지인 특혜 수주, 법사까지 등장한 각종 의혹이 덮어질 리도 만무하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어 "그럼에도 특별감찰관 임명으로 더이상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며 "야당이 제출한 국정조사는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은 대통령 관저 공사 수주 의혹, 대통령실 사적 채용 의혹 등 파헤치기 위한 국정조사 요구서를 국회에 제출한 상태다.
원본보기
박 원내대표는 또 "'나는 소통령이다. 한마디도 지지 않겠다'고 외치는 듯한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태도는 마치 미운 일곱 살 같았다"며 전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한 장관을 직격했다.
그는 "입법 과정이 꼼수라며 국회를 폄하했다"며 "위원들에게 '직접 답변해보라, 나도 일국의 장관' 운운하는 도발도 서슴지 않았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국회가 통과시킨 법령을 함부로 무시한 채 법 기술자의 현란한 테크닉을 위법 시행령을 일삼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아울러 최근 윤석열 대통령과 국회의장단 만찬을 거론하며 "(윤석열 정부가) 복잡한 국가적인 의제는 국회에서 잘 논의해달라고 무책임하게 떠넘기면서 권력 장악을 위해 입법권을 무력화하며, 시행령을 개정하는 습관적인 꼼수가 윤석열식 협치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윤 대통령의 국회 제안이 진정성을 가지려면 위법한 시행령 철회와 입법부 무시에 대한 사과가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우상호는 국힘 망하기 원해서 대한민국도 망하기를 원하는 놈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