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중국 '짝퉁' 어린이 가방서 발암물질 … 해외직구 10개 중 4개 부적합

뉴데일리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된 제품에 대해 안전성 검사를 한 결과, 전체 43%에 이르는 40개 제품에서 최대 428배의 유해물질이 검출돼 논란이다.

서울시가 28일 지난달부터 매주 실시하고 있는 해외 온라인 플랫폼 제품에 대한 7번째 안전성검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주에는 가방·신발·벨트 등 중국 온라인 플랫폼 쉬인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가죽제품 8개에 대한 유해 화학물질 검출 여부, 내구성 등 검사 결과 7개 제품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어린이용 가죽가방은 4종 모두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4종 중 1개 제품에서는 폼알데하이드가 기준치를 1.2배 초과해 검출됐다. 나머지 3개 제품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최대 153배 검출됐다. 이중 2개 제품은 중금속(납 등) 함유량도 기준치를 넘었다.

어린이용 신발(2종)과 어린이용 가죽 벨트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 폼알데하이드가 초과 검출됐다.

신발 1개 깔창에선 폼알데하이드 수치가 기준치를 1.8배 초과했고 나머지 1개 제품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 428배 초과 검출됐다.

또 물리적 안전 요건 시험 기준에서도 크기가 작은 신발 부속품이 떨어져나오며 부적합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어린이용 가죽 벨트에서는 납이 안전 기준치의 1.78배를 초과해 검출됐다.

서울시는 지난달 8일부터 매주 총 7차례 유해물질 검출 결과를 발표했다. 검사는 어린이들이 직접 만지고 사용하는 93개 제품에 대해 우선적으로 진행했고 43%에 달하는 40개 제품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단일 제품에서 여러 유해성분 검출된 경우가 있어 발생 건수는 총 57건이다.

현재까지의 검사 결과를 분석하면 가장 많이 검출된 유해성분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였다. 완구, 학용품, 장신구 등의 25개 제품에서 발견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 정자 수 감소·불임·조산 등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접촉 시 눈, 피부 등에 자극을 일으킬 수도 있다. 그 중 DEHP(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는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인체발암가능물질(2B등급)이다.

다음으로 납·니켈 등 중금속이 15개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 중금속은 몸 밖으로 쉽게 배출되지 않고 인체에 축적돼 장기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외에도 가습기 살균제 성분인 CMIT(클로로메틸이소치아졸리논), MIT(메틸이소치아졸리논) 같은 사용금지 방부제(3건)와 폼알데하이드(2건), 붕소(2건), 바륨(1건) 등도 기준치를 초과한 제품들이 많았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매주 안전성 검사 실시는 물론 검사 대상을 어린이 제품에서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식품용기, 위생용품, DIY 가구, 어린이용 놀이기구, 화장품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현재 유해성이 확인된 제품에 대해선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사에 판매 중지를 요청해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해외직구 상품의 접근을 차단하고 있다. 실제로 알리, 테무 등 해외 플랫폼에서는 시가 판매 중지를 요청한 유해 성분 검출제품을 더 이상 판매하고 있지 않다.

송호재 서울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지난 4월 첫 검사 이후 해외온라인 플랫폼의 유해 제품으로부터 시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 안전검사 대상을 확대하고 다양한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해 시민들의 안전을 철저하게 보호하겠다"고 말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4/05/28/2024052800067.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