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번, 비록 실패하였지만 주자학에 절은 조선이라는 전근대로부터의 탈출을 시도한, 최초의 근대화 시도였다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역사책에서는 거의 금기시하고는 있지만, 일본 근대화를 이룬 메이지 유신(1868)의 정신적 지주였던 후쿠자와 유키치가 조선의 근대화를 위해 갑신정변을 후원했습니다. 당시 근대화한 일본은 남진하는 대륙 세력, 특히 러시아에 대한 경계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후쿠자와 유키치 등, 일본의 지식인, 군인 정치인들은 조선을 남진하는 러시아를 저지할 방어선으로 생각하고, 조선 근대화가 일본 열도의 안전에 도움이 된다는, 다분히 방어적인 입장이었습니다. 그러나 갑신 정변이 실패한 뒤로, 일본은 조선이 자력으로 근대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그때부터 정한론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이런 점을 고려해볼 때, 역사에 만약에라는 가정을 하는 것이 부질없기는 하나, 갑신 정변이 성공했더라면 조선은 일본에 합병되지 않았을 지도 모르는거죠.
2번
2 신해혁명 모델로 갔어야했음
5
이거 갑신정변을 일으킨 의의에대한 평가임 아니면 갑신정변이 실패한 결과에 대한 평가임?
전자면 5가 맞는데 후자면 뭐 평할게 없네
갑신정변 일련의 모든 과정이요.
시작부터 끝까지에 대한 전반적 평가.
실패로 인해 뭐 부정적인 생각갖게만 만들었으니 뭐 부정적일수밖에 없네요 진짜 조선 최악의 빌런 고종민비
2
1~2번 사이입니다
3
5, 시도에 의의를 둠
3, 안타깝지만 순진한 거 같음
2번
1번.
4번, 비록 실패하였지만 주자학에 절은 조선이라는 전근대로부터의 탈출을 시도한, 최초의 근대화 시도였다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역사책에서는 거의 금기시하고는 있지만, 일본 근대화를 이룬 메이지 유신(1868)의 정신적 지주였던 후쿠자와 유키치가 조선의 근대화를 위해 갑신정변을 후원했습니다. 당시 근대화한 일본은 남진하는 대륙 세력, 특히 러시아에 대한 경계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후쿠자와 유키치 등, 일본의 지식인, 군인 정치인들은 조선을 남진하는 러시아를 저지할 방어선으로 생각하고, 조선 근대화가 일본 열도의 안전에 도움이 된다는, 다분히 방어적인 입장이었습니다. 그러나 갑신 정변이 실패한 뒤로, 일본은 조선이 자력으로 근대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그때부터 정한론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이런 점을 고려해볼 때, 역사에 만약에라는 가정을 하는 것이 부질없기는 하나, 갑신 정변이 성공했더라면 조선은 일본에 합병되지 않았을 지도 모르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