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함?
다른 나라도 그런 성향이 없긴 한데, 저는 이게 동아시아의 집단주의 문화의 영향이 크다고 봄.
동아시아가 대체적으로 농경은 곧 삶을 이어지게 만드는 지렛대이니, 집단의 이익을 개인의 이익보다 우선시하는 경향이 발달할 수 밖에 없음.
그러한 영향의 대표적 사례가 이번 코로나 초기에 국민들이 알아서 방역수칙에 따르려고 했던 행위들이었고.
즉 집단 전체의 발전을 위해서는 개인의 이익은 살짝은 포기해도 된다는 마인드가 전반적으로 깔려있는 상황에서, 선동이란 결국 어떠한 집단의 이익을 위해 내뱉는 감언이설.
그러다보니 듣기에도 좋고, 집단의 이익에도 도움이 되는 것 같으니 잘 선동이 되는 것이라고 봄.
대한민국만 국한되어있는게 아니라 다른 나라도 그런것 같아.
우리나라도 그렇고
미국도 좌:90 우 :10
ㅋㅋㅋㅋㅋㅋㅋㅋ
맞아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섹시하네
다른 나라도 그런 성향이 없긴 한데, 저는 이게 동아시아의 집단주의 문화의 영향이 크다고 봄.
동아시아가 대체적으로 농경은 곧 삶을 이어지게 만드는 지렛대이니, 집단의 이익을 개인의 이익보다 우선시하는 경향이 발달할 수 밖에 없음.
그러한 영향의 대표적 사례가 이번 코로나 초기에 국민들이 알아서 방역수칙에 따르려고 했던 행위들이었고.
즉 집단 전체의 발전을 위해서는 개인의 이익은 살짝은 포기해도 된다는 마인드가 전반적으로 깔려있는 상황에서, 선동이란 결국 어떠한 집단의 이익을 위해 내뱉는 감언이설.
그러다보니 듣기에도 좋고, 집단의 이익에도 도움이 되는 것 같으니 잘 선동이 되는 것이라고 봄.
대한민국만 국한되어있는게 아니라 다른 나라도 그런것 같아.
우리나라도 그렇고
미국도 좌:90 우 :10
ㅋㅋㅋㅋㅋㅋㅋㅋ
대한민국만 국한되어있는게 아니라 다른 나라도 그런것 같아.
맞아
우리나라도 그렇고
미국도 좌:90 우 :10
ㅋㅋㅋㅋㅋㅋㅋㅋ
다른 나라도 그런 성향이 없긴 한데, 저는 이게 동아시아의 집단주의 문화의 영향이 크다고 봄.
동아시아가 대체적으로 농경은 곧 삶을 이어지게 만드는 지렛대이니, 집단의 이익을 개인의 이익보다 우선시하는 경향이 발달할 수 밖에 없음.
그러한 영향의 대표적 사례가 이번 코로나 초기에 국민들이 알아서 방역수칙에 따르려고 했던 행위들이었고.
즉 집단 전체의 발전을 위해서는 개인의 이익은 살짝은 포기해도 된다는 마인드가 전반적으로 깔려있는 상황에서, 선동이란 결국 어떠한 집단의 이익을 위해 내뱉는 감언이설.
그러다보니 듣기에도 좋고, 집단의 이익에도 도움이 되는 것 같으니 잘 선동이 되는 것이라고 봄.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섹시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