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이륙 중 추락한 공군 전투기 KF-16의 사고 여파로 26일 국군의날 행사가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박윤서 공군 서울공보팀장은 25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KF-16) 전력들은 일부 조정이 있을 것"이라며 "해당(사고) 엔진을 사용하지 않는 다른 기종은 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고 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 중에 있다"며 말을 아꼈다.
지난 21일 오전 8시20분쯤 제20전투비행단 소속 KF-16 1대가 임무 수행을 위해 충청남도 서산기지에서 이륙하던 중 추락했다. 조종사 1명은 비상탈출해 생명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군은 사고 이후 이상학 공군참모차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행사고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군 관계자들은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고 전투기인 KF-16C는 단좌기로, 지난해 11월 추락한 전투기와 동일한 기종이다. 당시 공군은 KF-16 전 기종에 대한 비행중지와 함께 일제 점검을 실시했다.
그러나 사고 이후 1년도 채 되지 않아 추락사고가 재발했다는 점에서 부실점검 등의 의심도 제기되고 있다. 올해 6월1일에도 KF-16은 비행 중 공중급유도어가 열리지 않는 문제가 생겨 긴급 복귀하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이번 KF-16 추락 사고는 26일 개최되는 창군 75주년·한미동맹 70주년 국군의날 기념식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 성남 서울공항과 서울 시내에서 진행되는 이번 행사에 KF-16은 최초의 한국형 전투기인 KF-21 '보라매' 등과 함께 편대비행을 할 계획이었다. 이를 위해 약 20대의 KF-16이 행사에 동원될 예정이었으나, 이번 사고로 인해 계획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한편, KF-16은 1990년대 도입 이후부터 총 9차례나 추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1997년 8월 연료 도관 부식으로 처음 추락사고가 발생한 이후 한 달 뒤인 9월 같은 이유로 또다시 추락했다.
2002년 2월에는 엔진 터빈 블레이드 파손으로 1대가 추락했고, 2007년 2월 정비불량 사고 이후 그해 7월 비행 중 착각으로 서해에 추락해 2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2009년 3월에는 조종사 과실, 2019년 2월 부품 고장으로 각 1대가 추락했다.
지난해 11월20일에는 제19전투비행단 소속 KF-16 전투기 1대가 엔진 이상으로 추락했고, 이 사고 여파로 대규모 전역급 공중종합훈련인 2022년 후반기 '소링 이글'(Soaring Eagle) 훈련이 취소됐다.
4세대 다목적 전투기인 KF-16은 '한국형 전투기 사업' 일환으로 미국 F-16에 국산화한 부품을 조립 생산하는 방식으로 전력화했다.
현재 공군에서 약 130대가 운용 중이며, F-15K와 함께 주력 전투기로 평가받고 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3/09/25/202309250012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