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의 목적은 진리 탐구”… ‘김건희 논문’ 일갈한 노교수
n.news.naver.com
원본보기
“논문을 발표한다는 건 새로운 진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겁니다.”
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 백발이 성성한 노교수가 마이크를 잡은 뒤 카랑카랑한 목소리로 이같이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논문표절 의혹 검증을 위한 범학계 국민검증단이 대국민 보고회를 위해 만든 자리였다. 이 같은 발언을 한 주인공은 장임원 전 중앙대 의과대학 교수였다.
장 전 교수는 “저는 은퇴한 교수이고 나이는 81세”라며 “제가 지도한 논문이 30여편 된다. 심사위원으로 심사를 맡은 논문은 100편이 넘는다”고 운을 뗐다.
그는 “(논문 발표)는 자기 명예 같은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게 아니다”며 “진리를 개발해서 자기가 소속된 학계의 발전을 위해서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장 전 교수는 표절 의혹이 제기된 김 여사 논문을 심사했던 지도교수와 심사위원들을 강하게 성토했다. 그는 “논문을 신청해서 발표하면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도교수가 있고 심사위원도 석박사의 경우 각각 3인과 5인이 있다”고 “전부 표절(여부를) 밝혀내야 할 책무가 있는 사람들”이라고 했다.
그는 “(이들은) 심사해야 할 논문을 받으면 몇번씩 탐독을 해야 한다. 어디에 인용이 빠졌나, 인용 출처가 빠졌나 이런 걸 다 (검증)해서 심사할 때 다 지적하고 수정하고 교정 지시를 한다. 그렇게 교정을 해와야 사인을 해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가 볼 때는 (김 여사 논문에) 관여된 지도교수와 심사위원들은 논문을 한 번도 읽지 않은 사람들이다. 그냥 사인한 사람들이다”라고 주장했다. 장 전 교수의 이 같은 비판에 좌중에서는 “허허”하는 탄식이 터져 나왔다.
그는 ‘국민대가 표절이 아니라고 발표하면서 당시 도덕성과 검증기준을 봐야 한다고 언급한 것을 어떻게 보느냐’는 기자 질문에는 “관행? 천만의 말씀이다”라며 “어디 그런 관행이 있느냐”며 “이 경우에는 습관적이지 않으냐. 논문 한 편만 그런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옛날에는 그렇지 않으냐고 해서 제가 옛날 사람으로서 말씀을 드린다”며 발언을 마쳤다.
이날 국민검증단은 “교육부의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에 기반해 논문을 검증한 결과, 김 여사 논문에서 광범위한 표절이 이뤄졌다”며 “논문의 내용과 문장, 개념, 아이디어 등 모든 면에서 표절이 이뤄졌음을 확인했다. 형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특허권 도용의 여지도 있다”고 발표했다.
앞서 국민대는 지난 8월 1일 김 여사의 논문 4편에 대한 연구윤리부정 의혹을 재조사한 결과 박사학위 논문을 포함한 2편 등 총 3편에 대해 연구부정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나머지 학술논문 1편은 ‘검증 불가’ 판정을 내렸다.
국민대는 논문이 발표된 2007년 연구윤리 관련 학계 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부 논문에 대해서는 “인용 부분은 이미 공개된 통계자료를 활용하거나 일반적인 연구방법론에 관한 내용이며, 논문 작성 당시 연구윤리를 가늠할 수 있는 시스템과 연구윤리 교육에 관한 기준이 아직 확립되지 못했다”고 했다.
팩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