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파 시민들이 다시 일어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 인용으로 물러나자 보수 우파 세력은 허무함을 감추지 못했다.
하지만 만 하루가 흐른 5일, 광화문 광장은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와중에도 구름 인파로 가득찼다.
시민들은 헌법재판소가 대통령의 고도 행위로 단행한 계엄령을 탄핵의 잣대로 올린 것에 분노를 표시하면서도 "체제 수호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며 결기를 다졌다.
광화문 뿐만 아니라 그간 우파의 목소리를 대변해온 많은 인사들이 일제히 '새로운 승리'를 위해 일어설 것임을 다짐했다.
이들은 "이제 보수 우파는 '반(反) 이재명'으로 결집해야 한다"며 단일대오로 대선에서 반드시 승리해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지켜낼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전광훈 목사가 이끄는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대국본)'와 자유통일당 주최로 열린 '국민저항권 광화문 국민대회'에는 빗속에도 수십만 인파가 모였다.
1시까지는 일부 도로가 차량 통행에 열려 있었지만, 오후 2시를 넘자 인파에 밀려 모든 차선이 인도로 바뀌었다.
집회에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변호인단 이하성 변호사, 이정린 전 국방부 차관 등이 연사로 참여했다.
단상에 오른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우리는 그동안 한남동 관저앞, 광화문 등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살리는 것이 곧 대한민국을 살리는 길이라는 신념으로 싸워왔다"며 비장한 어조로 말했다.
그는 "그러나 대통령을 지키지 못했고, 이는 국민의힘 의원들의 책임"이라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대한민국 체제는 이미 흔들리고 있었다. 보수는 분열되었고, 무능하고 어리석었다"며 통렬히 반성했다.
윤
의원은 그러나 "지금은 체제수호 전쟁의 한 가운데이며 좌파 사법 카르텔, 부정부패 선관위 카르텔, 종북주사파 카르텔 등 3대
카르텔에 맞서야 할 때"라며 "우리의 싸움은 결코 멈추지 않고 반드시 승리로 이어질 것이다. 이 절망과 분노는 우리의 승리
에너지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유민주주의를 지켜내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라며 "역사는 반드시 윤 대통령의 명예를 회복할 것이며, 우리는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외쳤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변호인단 이하성 변호사는 현장에서 김 전 장관의 옥중서신을 낭독했다. 김 전 장관은 "너무나 큰 분노와
실망감을 감출 수 없지만 끝이 아니다. 다시 대한민국, 다시 윤석열, 다시 대통령"이라며 "법의 심판보다 더 강력한 국민의 심판이
남아 있다. 우리는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정린 전 국방부 차관은 "헌법재판관 8명은 제2의 이완용"이라며 "이 모든 사태의 본질은 이재명을 대통령 만들기 위한 시나리오"라고 주장했다. 그는 "국민 저항권을 발동해야 하며, 천만 명이 모여야 한다"고 말했다.
호국불교승가회
성호스님은 "어제 결과가 나온 이후 먹어도, 마셔도, 아무런 맛이 안 난다. 몸이 정상이 아니다."라며 대통령 파면에 대한
참혹한 심정을 언급했다. 그는 이어 "어제 우리의 소중한 기회가 날아갔지만, 위기는 곧 기회다. 우리가 하나로 뭉쳐야 한다"며
"불온 세력을 이 땅에서 몰아내자"고 외쳤다.
시민들의 열망을 이어가듯, 우파 곳곳에서 승리의 열망을 담은 발언을 쏟아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세종미래전략포럼, 자유민주시민연합 등으로 구성된 시민사회단체연합이 연 김 장관 대선 출마 촉구
기자회견에서 "국회의원 몇 명이 배신해 상대방에 합세하고 헌법재판소 몇 명이 직선제로 선출된 윤석열·박근혜 전 대통령을 파면하는 게
민주주의에 맞느냐"며 "민주헌법의 핵심은 대통령 직선제"라고 탄핵의 부당함을 강조했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페이스북에 "윤 대통령 탄핵은 당부(當否·옳고 그름)를 떠나 과거가 됐다"며 "치유의 시간은 하루면 족하고 우리는 다시 일어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수우파의
목소리를 최전선에서 대변해온 서정욱 변호사는 현 상황을 '법치의 대위기'로 규정하고 "조희대 대법원장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에 대해 전원합의체로 파기자판을 해야 한다. 법치를 바로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변호사는 특히 "이재명이 설령 대통령이 되더라도 기존의 재판은 엄정하게 진행돼야 한다는 점을 조 대법원장이 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4/05/202504050003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