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트럼프 "우크라전 휴전 안 하면 러 원유에 25% '2차 관세' 부과"

뉴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매우 화가 났다"면서 우크라이나와 휴전 합의에 진전이 없으면 러시아산 석유에 2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고 미국 NBC가 3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NBC와 전화 인터뷰에서 푸틴 대통령이 최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정당성을 문제 삼은 것을 거론하며 이같이 밝혔다.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과도 정부가 수립돼야 한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발언이 "올바른 곳으로 향한 게 아니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러시아와 내가 우크라이나에서의 유혈사태를 멈추기 위한 합의를 도출 못 하게 되고, 아닐 수도 있지만 그게 러시아 잘못이라면 러시아에서 나오는 모든 석유에 2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2차 관세는 러시아산 원유를 구매하는 국가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표현이 아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24일 베네수엘라에 2차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면서 이를 베네수엘라에서 석유나 가스를 수입하는 모든 국가는 미국과의 모든 교역 과정에서 25%의 관세를 내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러시아에서 석유를 구입하면 미국에서 사업을 못 하게 될 것"이라면서 "모든 석유에 25% 관세가 부과될 것이며 25~50%P까지 관세가 매겨질 수 있다"고 예고했다.

구체적으로 "미국에서 판매되는 석유와 기타 제품에 25% 관세가 부과될 것이며 2차 관세도 매겨질 것"이라면서 휴전협정이 체결되지 않으면 대(對)러 관세가 한 달 내 부과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자신이 화가 났다는 것을 푸틴 대통령도 알고 있다면서 "그와 매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가 옳은 일을 한다면 분노는 금세 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주 푸틴 대통령과 다시 대화를 나눌 계획이라고도 예고했다.

대통령선거 기간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종전협상 중재를 주도하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지난주 흑해에서 안전한 항해 허용과 에너지시설에 대한 공격 중단을 골자로 한 부분 휴전에 합의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자국 농산물 수출에 대한 제재 완화가 우선돼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으며 양측이 서로 에너지시설을 공격하려 한다고 비방하면서 실질적인 이행으로 이어지진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핵 합의를 제안한 이란을 향해서도 폭격하고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강하게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이) 협정을 맺지 않으면 폭격이 있을 것"이라며 "지금까지 본 적 없는 폭격을 당하게 될 것"이라고 강력히 경고했다.

이어 "그들이 합의하지 않는다면 4년 전처럼 내가 2차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미국과 이란 관료들이 "대화하고 있다"면서 핵 프로그램 협상 재개 의지를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핵 합의를 위한 협상을 제안하는 서한을 이란에 보냈다. 서한에는 "이란 문제를 해결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며 "군사적으로 해결하거나, 협상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라는 내용인 것으로 알려졌다.

알리 호세인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는 27일 오만을 통해 공식 답변을 보냈다.

AP통신에 따르면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은 30일 이번 답신에서 미국과 간접 협상 가능성은 열어놨다면서 직접 협상안에는 거부했다고 밝혔다.

이란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미국·영국·중국·프랑스·독일·러시아와 핵 합의(JCPOA, 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체결해 우라늄 농축도를 3.67% 이하로 제한하고 탄도미사일 개발을 8년간 중단하는 조건으로 경제제재를 해제 받았다.

하지만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가 핵 합의에서 일방적으로 탈퇴한 뒤 대(對)이란 제재를 복원하며 사실상 핵 합의가 무산됐고, 이후 이란은 핵 프로그램에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

핵무기 생산에도 근접했다는 평가도 있다. 이란은 핵폭탄 6기를 생산할 수 있는 농축우라늄을 보유했다고 전해졌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3/31/2025033100001.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