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日 로비, 韓은 투자" … 현대차, 절묘한 타이밍에 꺼내든 美관세 해법

뉴데일리

일본 자동차 업계가 미국 정부로부터 관세에 대한 확실한 보장을 얻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절묘한 타이밍의 투자 계획 발표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직접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2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일본 자동차 업계는 미국 내 로비 단체를 통해 관세 면제를 얻어내려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 확실한 보장을 받지 못한 상태다. 미국 정부는 일본 자동차 업체들에게 신규 투자 또는 기존 투자 확대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일본 측은 선뜻 대규모 투자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도요타의 경우 지난 70년간 미국에 5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고 4만9000명 이상의 미국인을 고용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신규 투자나 기존 투자안 가운데 재포장해서 내놓을 내용이 있는지 반복적으로 물어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현대차그룹은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 부과를 앞둔 절묘한 타이밍에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실질적인 답을 얻어냈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210억 달러(약 30조8500억 원) 규모의 미국 투자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대규모 투자 계획을 공개하며 미국 내 자동차 생산과 부품·물류·철강 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를 약속했다.

정 회장의 발표 직후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는 미국에서 철강을 생산하고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들 것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관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

일본 업체들이 로비를 통해 정치적 해결을 모색한 반면, 현대차그룹은 대규모 직접 투자를 발표함으로써 확실한 대응책을 마련한 것이다. 미국 정부가 원하는 것은 자신들을 설득하는 것이 아니라 가시적인 경제적 기여라는 점에서, 현대차그룹의 전략적 결정이 빛을 발한 셈이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미국 내 생산량을 120만 대까지 확대하고, 현대제철의 미국 진출을 포함한 다양한 투자 계획을 내놓으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환영을 받았다. 또한, 30억 달러 상당의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계획도 발표하며 미국 경제에 대한 기여도를 더욱 높였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모빌리티의 마이클 로비넷 부사장은 "일본 자동차 업체들은 미국 내 초과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 신규 공장 건설이 가능할 것"이라며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대규모 투자 결정을 미루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3/25/2025032500274.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