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외신도 '韓 탄핵 기각' 긴급 타전 … "尹 선고 미정에 불안 확산"

뉴데일리

헌법재판소가 24일 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를 기각, 한덕수 총리가 거의 3개월 만에 대통령 권한대행직에 복귀하게 되자 외신들은 이를 주요 뉴스로 긴급 타전했다.

AFP통신은 "헌재의 8명 재판관에 의한 표결에서 한 총리의 탄핵은 5대 1로 기각됐다. 재판관 2명은 탄핵 발의를 전적으로 각하하는데 표를 던졌다"고 전했다.

AP통신도 "한국 헌재가 한 총리의 탄핵을 뒤집었다"는 소식을 속보로 전하면서 한 총리가 지난해 12월 비상계엄령 선포로 탄핵당한 윤석열 대통령을 대신해 대통령직을 수행하던 중 야당이 다수인 국회와 정치적 갈등을 빚은 뒤 역시 탄핵당했다고 보도했다.

AP는 헌재가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과 관련해서는 아직 결론을 내지 않았다면서 어떤 판결이 나오느냐에 따라 조기 대선을 치를지, 혹은 윤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할지가 정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이터통신은 "한국 헌재가 한 총리에 대한 탄핵을 기각하고 권한을 돌려주면서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으로 비롯된 2개월여간의 정치적 혼란이 새로운 전환을 맞았다"고 보도했다.

이어 "한 총리는 30여년간 보수와 진보를 막론한 5명의 대통령 아래에서 지도부 직위를 수행, 당파적 수사로 극명히 분열된 이 나라에서 당파를 초월해 다양한 경력을 쌓은 드문 사례로 여겨져 왔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야당 주도의 국회는 그가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결정을 막으려 충분히 노력하지 않았다는 혐의를 제기했으나, 한 총리는 이를 부인해 왔다"고 덧붙였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한국 총리가 (직무에) 복귀했지만, 대통령에 대해선 여전히 말이 없는 상황"이라면서 윤 대통령에 대한 판결 날짜가 아직도 정해지지 않았다고 짚었다.

WP는 이날 판결에 앞서 "윤 대통령 지지자와 반대자를 포함해 수만명의 시위대가 주말 서울 거리를 메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양측 모두가 법원이 조속히 결정을 내려 장기간의 정치적 위기에 마침표를 찍을 것을 촉구했다. 하지만 깊이 양극화된 이 나라에서 그런 일은 일어나기 힘들어 보인다"고 꼬집었다.

뉴욕타임스도 "윤 대통령 탄핵 또는 기각 여부에 대한 판단이 언제 내릴지 발표하지 않으면서 국민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며 "기각시 대통령직 수행을 둘러싸고 그 어느 때보다 분열된 대한민국을 마주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NHK는 "한 총리에 대한 헌재의 탄핵 기각 결정으로 대통령 직무대행 직무에 복귀하게 됐다"고 짧게 보도했다.

지지통신도 소식을 전하며 지난달 19일 1차 기일만 갖고 변론을 종결했다면서 "국회 측은 한 총리가 비상계엄 선언의 위헌 위법성을 알면서도 묵인했다고 지적했고, 공석이었던 헌재 재판관 임명 보류도 문제시했다"고 소개했다.

중국 신화통신은 "탄핵이 기각되면서 한 총리는 즉시 국무총리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복직됐다"고 전했다.

헌재는 이날 오전 10시 한 총리에 대한 탄핵 심판을 기각했다. 재판관 5명이 기각, 1명이 인용, 2명이 각하 의견을 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3/24/2025032400213.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