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고위 당국자들이 글로벌 기업 대표들을 만나 직접 투자유치에 나서는 중국발전포럼(CDF)이 23일 이틀 일정으로 베이징에서 개막했다.
특히 올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포함해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전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열리는 것인 만큼 주목된다.
중국발전포럼에 따르면 '발전동력의 전면적 발산, 세계 경제의 안정적 성장 공동 촉진'을 주제로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열리는 이번 포럼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 팀 쿡 애플 CEO 등 글로벌 해외 재계 인사 79명이 참석한다.
이재용 회장이 중국발전포럼을 찾는 것은 재작년에 이어 2년 만이다. 일각에서는 이 회장이 올해 포럼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으나, 전날 오후 늦게 포럼 측은 이 회장의 이름이 들어간 참석자 명단을 공개했다.
곽노정 사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포럼도 참석한다. 곽 사장은 지난해 CDF에서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을 만나 중국의 경영 환경 및 정책 변화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밖에 △BMW △메르세데스-벤츠 △BNP 파리바 △네슬레 △보쉬 △페덱스 △히타치 △화이자 △카길 △도이체 방크 △마스터카드 △퀄컴 △보스턴컨설팅그룹(BCG) △베인앤컴퍼니 △아람코 등의 CEO 역시 포럼을 찾았다.
경제기구 인사로는 △존 소튼 아시아소사이어티 의장 △션 스타인 미중무역전국위원회장(USCBC) △스티븐 올린스 미중관계전국위원회장 △존 노이퍼 미국반도체협회(SIA) 대표가 참석했고, 한국에서는 이시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이 지난해에 이어 참석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 중 일부는 28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날 가능성이 크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기업인 외에는 이스라엘의 세계적 석학인 유발 하라리 히브리대 역사학과 교수, 미국 경제학자 제프리 삭스 컬럼비아대 교수,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국방부 차관보를 지낸 미국 정치학자 그레이엄 앨리슨 하버드대 교수 등도 참석한다.
이번 포럼은 주제별 심포지엄과 비공개 심포지엄으로 구성된다.
참석자가 미리 공지된 주제별 심포지엄은 △거시정책과 경제 성장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신품질 생산력 발전 △빅헬스산업 고품질 발전 △글로벌 산업·공급망 협력 △인구구조 변화의 도전과 기회 △경제 세계화 추세와 제도적 개방 확대 △AI의 호혜롭고 포용적인 발전 △소비 진작과 내수 확대 등을 다룬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인 스티브 데인스(공화, 몬태나) 상원의원이 이번 포럼에 참석하기 위해 20일 베이징에 도착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2기' 출범 후 미국 정치인으로는 처음으로 중국 고위급 지도자들을 만날 것으로 전해졌고, 시진핑 국가주석과의 회동 가능성도 제기돼 미·중 양국이 무역갈등 속에 대화의 물꼬를 틀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편 본 포럼은 중국 정부 싱크탱크인 중국발전연구재단(CDRF)이 2000년 시작한 고위급 연례 국제 포럼으로, 중국과 세계 간 고위급 소통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3/23/202503230004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