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각)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통화하고 우크라이나 방어를 위한 미국의 정보공유와 군사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의 전력 및 원자력발전소의 미국 소유를 언급했다고 백악관은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대가로 희토류 등 광물개발권에 이어 에너지 인프라 사업권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설립한 SNS 트루스소셜에 "젤렌스키 대통령과 아주 좋은 통화를 막 마쳤다"며 "통화는 약 1시간 동안 진행됐다"고 전했다.
이어 "대부분 논의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요청과 요구사항을 조정하기 위해 어제(18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통화를 바탕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에 대해 "우리는 매우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에서 전날 푸틴 대통령과의 대화 내용과 주요 논의사항을 자세히 설명했다고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마이클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언론에 제공한 설명자료에서 전했다.
두 정상은 통화에서 "양국이 전쟁 종식을 위해 계속 협력할 것이며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 아래 영구적 평화를 이룰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고 루비오 장관과 왈츠 보좌관은 밝혔다.
일부이긴 하지만,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간 휴전에 대한 합의가 처음으로 이뤄진 모습이다.
또한 두 정상은 러시아-우크라이나간 격전지인 쿠르스크 상황을 검토했으며 전황이 심각해짐에 따라 양측 국방 담당자간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대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우크라이나 방어를 위한 (미국의) 정보공유는 계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 정상은 통화에서 에너지분야에 대한 부분 휴전에도 합의하면서 이러한 부분 휴전이 완전한 전쟁 종식과 안보 보장을 위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그러면서 완전한 휴전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루비오 장관과 왈츠 보좌관은 밝혔다.
또한 젤렌스키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추가적인 방공시스템, 특히 패트리엇 미사일 시스템을 요청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에서 이용가능한 시스템을 찾기 위해 젤렌스키 대통령과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루비오 장관 등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에서 우크라이나의 전력공급망과 원자력발전소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전력 및 유틸리티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원전과 전력공급을 운영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루비오 장관 등은 "미국이 (우크라이나) 원전을 소유하는 것이 우크라이나 인프라를 보호하고 에너지 인프라를 지원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원전 등 중요시설을 두고 싸움을 벌이는 것보다 차라리 미국이 소유권을 넘겨받아 분쟁 소지를 줄이겠다는 것이다.
다만 젤렌스키 대통령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우크라이나 입장에서는 중요시설 소유권을 넘기는 것인 만큼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태미 브루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 제안은 최고의 협상가 중 하나인 트럼프 대통령에게서 나온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거래를 성사시키는 법을 알고 있고, 진지하게 고려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반드시 정부가 아니더라도 미국인이 소유한 법인을 통한다면 그것이 억지력을 창출한다"면서 우크라이나 경제 활력을 높이는 협력관계와 에너지 안보도 보장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루비오 장관 등은 "양측은 휴전협정을 유지하기 위해 모든 당사자가 계속 노력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부분 휴전 시행 및 휴전 확대와 관련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라고 지시했다"고 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함께 참여하는 종전 협상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2022년 전쟁 발발 이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공식적으로 협상 테이블에 앉은 적은 아직 없다.
우크라이나전쟁 휴전협정을 위한 양측 실무팀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만나 에너지분야 부분 휴전을 흑해에서의 해상휴전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과 통화 결과 합의된 미국과 러시아의 실무협상팀이 사우디에서 논의를 이어가기로 한 것과 같은 것으로, 미국이 같은 장소에서 양측을 중재하면서 휴전협상을 주도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레빗 대변인은 "대통령 협상팀과 국가안보 전문가팀이 이번 주 후반 사우디로 가서 세부사항을 계속 검토하고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처럼 평화에 가까워진 적은 없었다. 이건 오직 트럼프 대통령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레빗 대변인은 미국과 우크라이나간에 추진되는 광물협정에 대해서는 "지금은 광물협정을 넘어서서 평화협정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거부한 광물협정과 관련, 미국의 인력과 자산이 우크라이나에서 광물개발을 위해 머무는 것 자체가 안보에 도움을 준다고 주장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3/20/202503200001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