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트럼프 관세' 부담 … 애플, 4년간 美에 '사상 최대' 714兆 투자

뉴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우려 속에 미국 IT 대기업 애플이 파격적인 국내 투자를 약속하고 나섰다.

24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 CNBC, CNN 등에 따르면 애플은 이날 성명을 통해 "앞으로 4년간 미국에 5000억달러(약 714조원) 이상을 지출·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애플은 미국에 대한 투자는 이번이 역대 최대 규모라면서 이에 따라 2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규 2만개 일자리는 R&D, 실리콘 엔지니어링, AI 분야에 집중된다는 것이 애플의 설명이다.

이번 계획에는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 공장을 짓고, '첨단 제조 기금(Advanced Manufacturing Fund)'을 기존의 두 배인 100억달러(약 14조원)로 확대하며 AI 등에 투자를 가속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애플은 '폭스콘 테크놀로지 그룹'과 함께 올해 말 휴스턴에서 (생성형 AI 기능인) 애플 인텔리전스의 구성 요소인 '프라이빗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시스템을 구동하는 서버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는 "이는 적어도 일부 생산을 해외에서 (미국으로) 이전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애플은 내년에 휴스턴에 25만㎡ 규모의 제조시설이 문을 열 것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또한 미시간주에도 새 생산거점을 세워 차세대 기술자를 육성하는 등 반도체 설계에서 미국 내 R&D 투자를 확대할 방침이다.

팀 쿡 애플 CEO는 성명에서 "미국 제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게 돼 기쁘다"며 "미국 혁신의 역사에서 놀라운 새 장을 쓰기 위해 미국 전역의 사람들, 기업들과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애플의 이날 발표는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부과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21일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주지사 모임에서 쿡 CEO가 백악관 집무실에 와서 "수천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말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쿡 CEO가 멕시코에 있는 두 개 공장을 중단하고 대신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면서 "그들은 관세를 피하고 싶어 한다"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4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이는 아이폰 등 자사 기기의 상당 부분을 중국에서 생산해 미국에 판매하는 애플 입장에서는 이 같은 관세가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관측됐다.

트럼프 1기 때에도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가 부과됐으나, 당시 쿡 CEO는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해 관세 면제를 얻어낸 바 있다.

블룸버그는 "그(쿡 CEO)는 트럼프 1기 때 (애플에 부과하는) 관세가 한국의 삼성전자 같은 경쟁사에 이익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이 미국에 역대 최대인 50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면서 이번 발표를 반겼다.

그는 이날 오전 자신이 설립한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이같이 적은 뒤 "그 이유는 우리가 하는 일에 대한 믿음 때문이었다. 그 믿음이 없었다면 그들은 10센트도 투자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팀 쿡과 애플에 감사하다"고 밝혔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25/2025022500007.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