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이재명 '중도 보수' 발언에 … 비명계, '정체성 논란' 총공세

뉴데일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중도 보수' 발언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이 대표 발언이 당 정체성을 흔들 수도 있다는 이유에서다.

김부겸 전 총리는 1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유구한 역사를 가진 우리 민주당의 정체성을 혼자 규정하는 것은 월권"이라며 "비민주적이고 몰역사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가 우리 민주당이 중도 보수정당이라고 선언했다"며 "이 엄중한 시기에 왜 진보와 보수 논쟁을 끌어들이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김 전 총리는 민주당에 대해 "김대중·노무현의 정신을 계승하고 70년 자랑스런 전통을 가진 정당"이라며 "김대중 전 대통령은 민주당을 '중산층과 서민의 정당'이라고 했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민주주의의 최후의 보루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라고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강령에 '서민과 중산층을 대변한다'고 명시하고 있다"며 "강령은 당의 역사이자 정신이다. 충분한 토론과 동의를 거쳐야 한다"고 했다. 김 전 총리는 "진보의 가치를 존중하며 민주당을 이끌고 지지해 온 우리 당원들과 지지자들의 마음은 어떻겠느냐"라고도 되물었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민주당의 정체성을 하루 아침에 바꿀 수는 없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김 전 지사는 "우리 민주당에 대해 김대중 대통령은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중도개혁정당'이라고 했다"며 "노무현 대통령이 서거 직전까지 붙들고 있었고, 그 고민을 담아 미완성으로 세상에 나오게 된 책이 '진보의 미래'"라고 설명했다.

이어 "탄핵과 조기 대선을 코 앞에 두고, 지금 보수냐, 진보냐 나누고 이념 논쟁을 하는 것이 적절한지 의문이 든다"며 "이제는 이런 이념 논쟁에서 벗어나야 한다. 우리당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중도 보수층까지 끌어안을 수 있는 유능한 민주당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저는 이미 지난 이재명 대표와의 만남에서 당의 정체성과 관련한 중요한 의사 결정은 당내 민주적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말씀 드렸다"며 "한 번의 선언으로 민주당의 정체성을 바꿀 수는 없다"고 경고했다.

박광온 전 민주당 원내대표도 이날 페이스북에 민주당이 중도 보수의 길로 가는 것은 내 집을 버리는 것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중도 보수 정당을 표방하는 것이 선거 전략으로 유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면서도 "당장의 전략보다 중요한 건 민주당의 노선을 바라보는 국민의 마음이다. 기댈 곳이 없다는 상실감은 민주당에 큰 부담"이라고 주장했다.

중도 보수를 지향하는 것이 선거 전략으로 필요할지라도 지지자들에게는 상실감을 준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정당의 노선은 국민과 약속이고 신뢰의 문제"라며 "최근 민주당의 감세를 비롯한 신성장주의 태도는 청년과 사회경제적 약자에게 허탈함과 박탈감을 주고 있다"고 꼬집었다.

박 전 원내대표는 또 "중도 보수 정당의 표방은 차기 정부의 정책 방향을 제약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진보 개혁 노선을 지키면서 국민의 사회 대개혁 요구를 수렴하고 건강한 보수 아젠다를 포용하고 확장하는 것이 국민이 기대하는 민주당의 과제"라고 강조했다.

비명계 원외 모임 '초일회'도 이날 입장문을 통해 "당대표가 당내의 민주적 토론과 숙의 과정도 없이 아무렇지도 않게 민주당을 중도 보수정당이라고 말했다는 게 참 놀랍다"며 "이재명의 민주당이 중도 보수이면 유승민이나 안철수하고 통합하면 딱 맞겠다"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중도층을 확보하겠다고 중도 보수를 이념으로 바꾸겠다는 것은 어떤 토론도 없이 정체성을 바꾸는 당의 비민주성과 사당화 현상을 보여주는 것이고 정당의 전통과 역사, 규범을 무시하는 몰역사성을 뜻한다"고 비판했다.

박지현 전 민주당 비대위원장도 페이스북에 "실용을 강조하더니 이제는 민주당이 보수 정당이 되겠다는 건가"라며 "어제 발언 취소하셔야 한다. 실언이라고 인정하고 민주당 지지자들께 사과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19/2025021900300.html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