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만이 미국으로부터 수십억달러 규모의 무기 구매를 추진 중이라고 로이터통신 등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대만 반도체 산업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압박을 완화하는 동시에 대(對)중국 견제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로이터는 17일(현지시간) 정통한 소식통 세 명을 인용해 대만이 해안방어 순항미사일과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 등 미국산 무기 구매를 고려하고 있으며 액수는 70억∼100억달러(10조1000억∼14조4000억원) 사이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 소식통은 "이번 무기 구매 패키지는 대만이 스스로 방어할 의지가 있음을 미국에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대만의 구매 패키지에 해안 방어용 순항미사일과 하이마스(HIMARS·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가 포함될 예정"이라며 "총액이 80억 달러(약 11조 5600억원) 이하일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최대 100억 달러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세 번째 소식통은 "대만이 정밀 탄약, 방공 업그레이드, 지휘·통제 시스템, 예비군 장비와 대(對)드론 기술 등을 우선적으로 갖추기 위한 특별 방위 예산을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는 백악관이 이와 관련한 논평 요청에 바로 답변하지 않았으나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대만에 신속하게 무기를 인도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대만 국방부도 미국산 무기 구매와 관련한 구체적 언급은 거절했지만 방어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며 "군 건설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모든 무기와 장비는 입찰 대상"이라고 답했다.
앞서 대만언론은 이달초 소식통을 인용해 대만 육해공군이 각각 155㎜ M109A7 자주포, MH-60R(시호크) 해상작전 헬기 10대, E-2D 호크아이 조기경보기 6대 등 약 1천70억 대만달러(약 4조7000억원) 규모의 무기 구매를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러한 보도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만 반도체 산업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는 동시에 외교적 지원을 유지하는 가운데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 세계 각국 대상 '상호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대만은 우리 반도체 사업을 가져갔다 우리는 그 사업이 돌아오길 원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지난 7일 취임 후 첫 정상회담인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회담 후 성명에서는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미국 국무부는 최근 홈페이지 내 대만 자료를 업데이트하면서 "우리는 대만 독립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문구를 삭제하고 "적절한 국제기구 가입을 포함한 대만의 의미 있는 참여를 지지한다"는 내용을 넣었다.
이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대만에 대한 지지 의사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됐다.
중국 외교부는 "미국 국무부는 대만과의 관계 팩트시트를 수정하면서 대만 문제에서 심각하게 역행했고, '하나의 중국' 원칙과 중미 3대 공동성명, 국제법과 국제관계의 기본 준칙을 심각하게 위반했다"며 "잘못된 입장을 즉시 바로잡고 신중하게 대만 문제를 처리할 것"을 미국에 촉구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18/202502180029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