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모병제

profile
G7선진국시대로 챔피언

홍카 공약 모병제

Q) 인구가 주는데 모병제를 어떻게 하냐?

A) 첨단 기술(예: 드론) 전쟁 시대다, 숫자가 중요한 게 아니다, 강한 군대를 만드는 게 더 중요하다

 

라고 하셨던거 같은데

 

이번에 입대하는 05년생이 20만, 20년 후에는 10만 정도 될텐데 아무리 강한 군대를 만든다고 하지만 숫자가 너무 적어도 문제 아님?

 

현재 우리나라는 여자만 모병제 실시하고 있을텐데

 

남자까지 모병제로 돌리면 아무리 돈 많이 줘도 누가 감?

 

"부자들만 빠지고 돈 없는 서민들이 갈 것이다"라고 유승민이 말했던 거 같은데, 일리 있어 보이는데?

 

홍카 모병제 공약 잘 아는 홍카단 있으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댓글
3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 rdw
    rdw
    2시간 전

    아마 모병제로 전환하는대신

    '국방세'라는 세금을 따로 만들어서

    군대 안간 사람에게

    징수하는 방식이였을 거임

     

    그 자금으로 첨단무기 들여올려는

    생각이셨던 듯함

  • 가위바위보
    1시간 전

    가난한 사람이 군대에 가서 등록금이나 생활비 모아가지고 오면 좋은 거지 ㅋㅋㅋ 미군 경우에도 같음. 가서 대학 등록금 모아가지고 나옴 ㅋㅋㅋㅋ 유승민은 하여튼 생각하는 게 단편적임

  • 샘숭세탁기

    이 모병제가 참 어려운 주제인거 같은데

    개인적인 생각으로 지금 쟁점화되는 문제 때문에 더 나올 수 있는 말이긴 한듯

     

    1. 돈을 많이 주는 것도 결국 한계가 있을 수 있지 않을까 싶음. 왜냐하면 '병사'들이랑 간부들이랑 어느 정도 키맞춤도 고려하긴 해야하는데, 공무원 임금체계에 걸리잖음. 그래서 사실 군인들의 처우개선 및 임금개편을 위해서는 모병제가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봄. 그러므로 군인의 질 개선과 전반적 개편을 위해선 모병제가 방법이 될 수 있고, 그 자금 마련으로 위의 청꿈이가 말한 국방세 신설이 요구가 되지 않을까 싶음.

     

    2. 다만,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징집제를 유지해야하는 게 틀린 말은 아님. 러우전도 그렇고, 결국 아무리 질과 체계적인 보급체계도 중요하지만 어느정도의 병력 유지는 필요하긴 함. 이 부분에서 홍시장님이 어떻게 고민하실지까 궁금하긴함.

     

    3. 개인적 생각 한 스푼 더 얹자면, 모병제로 바꾼다면 미국처럼 보훈부의 강화도 절실히 필요할듯. 지금 국가보훈부가 '장관급 부처'로 바뀐지도 얼마 안되었지만 생각보다 예산규모가 너무 적음(이제 6조 정도). 예산규모도 확 늘리고, 제대군인지원 관련 예산을 대폭 늘려서 국가가 제복근무자를 얼마나 챙기고 있는가에 대한 인식 재부여 및 군인들이 전역 및 제대를 하더라도 크게 부담감이 없도록 하는 시스템의 강화가 필요하다 생각(거기에 단순히 돈을 주는 것보다 얼마나 빨리, 제대로 사회복귀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초점을 맞추면 더 좋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