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캐나다 수입품에 대한 25% 고율 관세 부과를 강행한 가운데, 이번 결정이 미국 서민경제를 타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관세는 수출업자가 아닌 수입업자가 부담하기 때문에 결국 그 비용 부담이 소비자에게 전가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로이터통신은 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서민들의 부담을 덜어주겠다고 공약했지만 인접 국가들에 대한 고율 관세 조치로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미 농무부·세관 통계를 보면 2023년 미국의 농산물 수입액 1959억 달러(약 285조원) 가운데 44%인 약 860억 달러(약 125조원) 상당의 수입 물량이 멕시코·캐나다에서 왔다.
특히 미국은 야채 수입의 3분의 2, 과일·견과류 수입의 절반가량은 멕시코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아보카도 수입 물량의 90% 가까이가 멕시코산이며 오렌지주스(35%)·딸기(20%)의 멕시코 수입 비중도 높다. 멕시코 데킬라 주류의 가격 인상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관세가 부과되면 캐나다의 대표적인 식재료 중 하나인 메이플시럽도 미국 내 가격이 인상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메이플시럽을 상업적 규모로 생산하는 국가는 미국과 캐나다 2곳뿐이며, 캐나다 생산량의 60% 이상은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코뱅크(CoBank)의 롭 폭스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이 대부분의 신선 과일·야채를 멕시코·캐나다에서 수입하는 만큼 이들 제품 가격이 분명히 오를 것"이라면서 "(기후 등의 이유로) 대체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육류도 마찬가지다. 질병 때문에 지난해 말부터 멕시코산 수입을 막은 상태지만 미국은 보통 연간 멕시코산 소 100만마리 이상을 수입한다.
미 당국 통계를 보면 소고기 분쇄육 소매가는 지난해 9월 사상 최고가를 찍은 뒤 지난달에도 그보다 약간 낮은 수준을 유지했고 햄버거용 고기 가격은 4년 전보다 42% 오른 상태다.
라보리서치 식품&농업의 랜스 치머만 애널리스트는 소고기 가격 고공행진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미국의 소고기 수요가 38년 만에 최고였다면서, 미국 내 사육두수 감소에도 수입 증가 등으로 이를 감당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런 만큼 관세 부과로 시장 혼란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02/202502020002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