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1인분 2만원 '金겹살' 논란… "도매가 3500원" 한돈농가 뿔났다

profile
화려하진않아도

‘식당 삼겹살값’이 묘하다. 농가에서 도매로 파는 돼지고기 가격은 내렸는데, 식당에서 먹는 삼겹살 값은 오르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가격 구조에 왜곡이 발생했다는 얘기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5월 서울의 삼겹살 1인분(200g) 평균 가격은 2만83원으로 나타났다. 사상 처음 2만원대에 진입했다. 4월(1만9981원) 대비 102원, 지난해 5월(1만9150원) 대비 930원 올랐다. ‘금(金) 사과’에 이어 외식 물가 급등을 상징하는 ‘금(金)겹살’ 논란으로 번졌다.

김영옥 기자

김영옥 기자


하지만 돼지고기 가격 통계는 식당 삼겹살값과 딴 판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농·축·수산물 물가가 1년 전보다 8.7% 올랐지만, 축산물은 2.6% 내렸다. 축산물 중에서도 돼지고기 가격 하락 폭(-5.2%)이 닭고기(-7.8%) 다음으로 컸다. 한돈협회 관계자는 “최근 돼지고깃값 하락이 물가 안정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농가에서 공급하는 돼지고기 도매가격이 5월 전국 평균 1㎏당 5278원으로 지난해 5월(5858원) 대비 580원(9.9%) 내렸다. 도매가격이 떨어지는 건 ▶외식 수요 감소 ▶할당 관세 적용 및 수입산 돼지고기 증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인한 일시적 도축 증가 등이 이유로 꼽힌다.

식당 삼겹살 가격이 오른 건 임대료와 인건비, 전기료 등이 상승해서다. 삼겹살 밑반찬으로 나오는 채소류 가격이 오른 영향도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식당 삼겹살 가격에서 실제 돼지고기 도매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은 17%(3500원)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한돈 농가는 뿔났다. 통계청 ‘2023년 축산물 생산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돼지 농가의 비육돈(돼지고기) 판매 수입은 2022년 대비 1.8% 줄었다. 돼지 1마리당 순수익은 2만3000원에 그쳤다. 순수익이 전년 대비 3만4000원(60.1%) 줄었다.

돼지고기 가격은 계절 요인 등으로 봄부터 여름까지 상승하다 추석 이후 하락하는 경향을 띤다. 하지만 한 번 오르면 꺾이지 않는 외식 물가 특성상 식당 삼겹살 가격은 고공 행진할 전망이다. 한훈 농식품부 차관은 “한돈자조금을 활용한 할인 행사 등을 통해 여름철 돼지고기 가격을 안정시키겠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367289?cds=news_media_pc

댓글
2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 getaway
    2024.06.17

    채소도 도매 과일도 도매 고기도 도매 생선도 도매

  • Shoop

    제 살깎아 먹으면서 장사를 하네. 사람들이 더 안 사먹지. 베짱장사 오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