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부당하므로 불이행" 문형순 전 모슬포경찰서장 국립묘지서 영면

profile
박지후대세 레전드

"부당하므로 불이행" 문형순 서장 국립묘지서 영면

n.news.naver.com

오늘(10일) 제주시 국립제주호국원에서 문형순 서장의 안장식이 거행되는 모습 (사진, 경찰청)원본보기

오늘(10일) 제주시 국립제주호국원에서 문형순 서장의 안장식이 거행되는 모습 (사진, 경찰청)

60년 만에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은 고(故) 문형순 전 모슬포경찰서장이 국립묘지에서 영면에 들었습니다.

오늘(10일) 경찰청 주최로 제주시 노형동에 있는 국립제주호국원에서 고 문형순 전 서장의 안장식이 거행됐습니다.

독립운동에 투신한 문 전 서장은 해방 뒤 2년이 흐른 1947년 경찰에 입직했습니다. 4.3 광풍이 몰아친 1949년에는 모슬포경찰서장을 지냈습니다.

1949년 문 전 서장은 좌익 혐의로 수많은 모슬포 주민들이 처형될 위기에 놓이자 이들에게 자수를 권유했습니다. 100여 명이 자수하자 전원 훈방했습니다.

또 1950년 성산포경찰서장 재직 때 계엄군의 예비검속자 총살 명령을 “부당함으로 불이행”한다며 거부해 295명의 생명을 지켰습니다.독립운동과 무고한 도민들의 목숨을 지킨 공로로 경찰청은 문 전 서장에 대한 국가유공자 서훈 추진을 1963년부터 추진해 왔습니다.

문 전 서장은 1953년 경찰을 퇴직한 이후로는 자녀 없이 쓸쓸한 노년을 보내다가 1966년 제주도립병원에서 눈을 감았습니다.

경찰청은 문 전 서장 사후에도 그의 독립운동 기록 들을 모아 보훈당국에 모두 여섯 차례 서훈 신청을 했지만 번번이 무산됐습니다.

고 문형순 서장원본보기

고 문형순 서장

서훈 신청 자료에 나온 인물이 문 전 서장인지가 분명하지 않고, 당시 독립운동을 입증할 자료가 부족하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그러던 중 경찰청은 문 전 서장이 6.25 전쟁 당시 지리산전투경찰대에 근무했던 사실을 확인하고 지난해 7월 6.25 참전 유공자로 서훈을 신청했습니다.

그 결과 문 전 서장이 세상을 떠난 지 57년 만이자, 경찰이 서훈을 추진한 지 60년 만인 지난해 12월 참전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았습니다.

이에 따라 문 전 서장은 국립묘지인 국립제주호국원에서 잠들 수 있게 됐습니다. 이전까지 문 전 서장은 제주시 오등동 민간묘지에 잠들어 있었습니다.

안장식에 참석한 윤희근 경찰청장은 추도사에서 “영웅을 존중하고 기억하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경찰의 노력이 보상받은 것 같아 더욱 뜻깊다”고 말했습니다.

이충호 제주경찰청장도 도민들을 위해 불의, 부당에 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다졌습니다.

오늘(10일) 제주시 국립제주호국원에서 문형순 서장의 안장식이 거행되는 모습 (사진, 경찰청)원본보기

오늘(10일) 제주시 국립제주호국원에서 문형순 서장의 안장식이 거행되는 모습 (사진, 경찰청)
 

고 문형순 서장 흉상원본보기

고 문형순 서장 흉상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