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명박(MB) 전 대통령이 이르면 이달 중순부터 릴레이 4대강 방문에 나서는 것으로 1일 확인됐다. 지난해 12월 사면·복권 후 천안함 묘역 참배와 유인촌 대통령 문화특별보좌관 주연의 연극 관람, 청계천 나들이에 이어 네 번째 공개 행보다.
여권에 따르면 이명박 전 대통령은 조만간 4대강을 직접 방문해 보(洑) 주변을 걸을 예정이다. 날짜를 못 박진 않았으나 이르면 이달 중순, 늦으면 이달 말부터로 계획됐다고 한다. 당초 6~7월로 일정을 고려했으나 이 전 대통령의 건강상태와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 등 여러 상황으로 이달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 전 대통령은 먼저 첫 코스로 경기 여주에 있는 한강의 여주보·이포보·강천보를 찾는다. 이후 금강, 영산강, 낙동강 순으로 4대강을 둘러볼 예정이다.
4대강 사업은 한강, 금강, 영산강, 낙동강 유역을 정비한 것으로 주요 이명박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한 국정 사업으로 진행됐다. 오랫동안 강바닥에 쌓인 흙을 정비해 물길을 조성하고 보를 설치해 물을 가둬 가뭄·홍수를 조절한다는 것이 주된 사업 추진 배경이다.
사업 초기부터 환경단체들이 대거 반대하고 나섰고 시민단체와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국민소송단이 4대강 사업은 위법하다며 소송을 냈지만, 대법원은 지난 2015년 12월10일 4대강 사업이 모두 적법하다고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문재인 전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2017년 5월 4대강 사업에 대한 정책감사를 지시했고 2021년 초 금강과 영산강의 일부 보 해체·개방 결정을 내렸다.
이후 윤석열 정부에서 환경부의 4대강 보 해체 추진에 관해 감사한 결과 금강·영산강 보 해체 결정 당시 4대강 조사·평가단에 반(反) 4대강 시민단체가 추천한 인사들이 주로 참여했고 이 과정에서 문재인 정부 김은경 전 환경부장관이 개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명박 전 대통령도 지난 5월15일 서울 청계천을 찾은 자리에서 기자들이 4대강 보 해체 결정에 대한 의견을 묻자 "해체다, 뭐다 하는 것은 정치적 행위"라고 지적한 바 있다.
다만 이 전 대통령의 이번 릴레이 4대강 방문은 윤석열 정부 감사원 감사 결과와는 관계없다고 한다. 이 전 대통령은 사면 후 측근들에게 "4대강 상황이 어떤지 가봐야겠다"고 자주 말했다고 한다.
이 전 대통령의 이번 4대강 방문은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을 비롯해 장다사로 전 총무기획관 등 측근 20여명이 함께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난 청계천 방문 때처럼 지역 주민들과 인사를 건네며 이번 집중호우 상황에서 4대강 사업이 홍수를 얼마나 방지했는지 직접 살필 계획이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3/08/01/202308010016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