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시민 휴식처 대구 수성못, 수성구청 이관해야" 청년들이 洪 시장에 힘 보탰다

profile
whiteheart

대구시-한국농어촌공사 소송전 빠진 수성못
"농업기반시설 아니라 공원, 권리 이관해야"
20대 청년들이 직접 목소리… 18일 서명운동

29일 대구 수성구 두산동 일대 상공에서 바라본 수성못의 모습. 안성완 기자 [email protected]



대구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수성못을 지방자치단체(대구시 또는 수성구청)가 관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직접 관련 사안을 건의한 가운데, 지역 청년들도 힘을 보태면서 한국농어촌공사와의 소유권 문제가 해결될지 관심이 모인다.

김채훈(20) 씨 등 수성구 지역 청년 10여 명은 18일 오후 8시 수성못에서 토지 이관과 관련된 집회를 진행한다. 이들은 수성못이 더 이상 농업 기반시설이 아니라 대구시민들이 즐겨 찾는 공원으로 탈바꿈한 만큼 관련 권리도 수성구청 또는 대구시로 이관하는 게 맞다는 취지로 서명운동도 벌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씨는 "지역 청년들이 즐겨 찾는 수성못 현안에 대해서는 우리가 직접 목소리를 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뜻을 함께하는 이들을 모았다. 특별히 단체를 만든 건 아니고, 자발적으로 모여 공론화에 나서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구시와 수성구청은 농어촌공사 소유 토지를 도로 등 시설물로 점유했다는 이유로 농어촌공사와 법정 다툼을 벌이고 있다. 농어촌공사는 지난 2018년 대구시와 수성구청이 토지 사용료를 내야 한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지난해 9월 1심 재판부는 대구시가 11억300여만원, 수성구는 1억2천200여만원의 사용료를 지급하라며 농어촌공사의 손을 들어줬다. 대구시와 수성구가 이에 불복해 현재도 대구고법 제2민사부 심리로 항소심이 진행 중이다.

지난 8월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를 찾은 윤석열 대통령을 만나 "수성못 소유권이 대구시로 무상 양여되도록 관련 법 개정에 나서달라"고 공식 건의하기도 했다. 대구시가 농업 기반시설 역할을 다한 수성못을 무상 양여받을 수 있도록 정부·여당이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취지였다.

수성못 이외에도 대구경북 곳곳의 도심 저수지들은 비슷한 상황을 겪고 있다. 대구 동구청은 신서혁신도시 내 저수지인 '신지'에 에코아일랜드 조성 사업을 지난 2020년부터 추진했지만 농어촌공사와의 협의 난항으로 올해 들어서야 공사에 착수했다. 경북도청도 도청신도시 '호민지'에 수변생태공원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29일 대구 수성구 두산동 일대 상공에서 바라본 수성못의 모습. 안성완 기자

 

https://naver.me/xUtlYLgc

 

매일신문

댓글
4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