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핵관’ 꼬리표 정진석·권성동, 전면 나서면 대통령 부담 불가피- 김기현은 4선에도 대중성 약세
- 원외선 나경원·유승민 참전 유력
- 내부 지지층 호응 확보 과제로
‘무주공산’. 불붙기 시작한 국민의힘 차기 당권 구도의 현재 상황이다. 아직 우위를 점한 주자는 등장하지 않았다. 집권당의 당권을 바라는 주자들은 강점만큼 뚜렷한 약점을 극복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천타천으로 당권 주자로 거론되는 인사들은 모두 윤석열 대통령의 성공을 내세운다. 방법론은 절대적 지지냐, 비판적 지지냐, 제3의 노선이냐로 갈린다. 이런 노선 차이와 윤 대통령과의 정치적 거리를 감안하면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 권성동 전 원내대표는 윤핵관(윤 대통령 핵심 측근) 그룹이다. 김기현 안철수 의원, 나경원 전 의원은 친윤석열계로 분류된다. 조경태 윤상현 의원은 중립지대로 평가된다. 유승민 전 의원은 비윤석열계다.
정진석 위원장과 권성동 전 원내대표의 짙은 친윤 색깔은 강점이자 약점이다. 이들이 당권 도전에 나서면 윤 대통령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정 위원장은 ‘심판이 선수로 뛴다’는 공세를 막아야 하고, 권 전 원내대표는 ‘불명예 퇴진한 원내사령탑’이라는 꼬리표를 떼야 당권에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원내대표로서 대선을 승리로 이끈 김기현(4선·울산 남을) 의원은 가장 먼저 의원 모임을 만들며 탄탄한 조직력을 선점했다.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는 여론조사 지지율은 극복해야 할 과제다. 김 의원은 12일 BBS라디오에서 “본격적인 레이스가 시작하기도 전이다. (현재의 인지도는) 큰 의미가 없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대선 후보와 대통령직인수위원장 등을 지낸 안철수 의원은 대중성이 강점이다. 안 의원은 ‘윤석열 정부 연대 보증인’을 자처하며 당내 기반 확대를 꾀하고 있다.
나경원 전 의원은 원외라는 상황을 극복하는 것이 난제다. 활동력에서 원내 인사들에 비해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데, 대중성과 인지도로 이런 약점을 메울 수 있을지 예단하기 어렵다.
조경태(5선·부산 사하을) 의원은 주식 공매도 금지 등 국민에 민감한 이슈를 파고들며 중도층 흡수에 주력한다. 인지도에서 타 주자에 뒤지지 않는 조 의원으로서는 부산 의원들의 지지를 얻는 것이 1차 관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윤상현 의원이 ‘다크호스’라는 시각도 있다. 그가 윤 대통령 측과 수시로 교감한다는 설도 있다. 그는 최근 경남을 찾는 등 각 지역 당원들과의 접촉면을 확대하고 있다.
유승민 전 의원은 윤 대통령과 분명한 대립각을 세우며 ‘마이웨이’ 행보다. 윤 대통령의 낮은 지지율을 감안하면 이런 언행은 국민의힘 반대·비판층에 부각되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호응도를 끌어올려야 하는 숙제도 동시에 안고 있다.
국제신문
신윤핵관 윤상현이 중립? ㅋㅋㅋㅋㅋㅋㅋ
아무래도 민주당 지지층이 유승민을 좋아하겠네요
조경태가 되길 희망한다
무리임 틀니들한테 조경태는 넘 인기가 없음
인기가있든없든 희망한다고
윤상현 중립 지랄하노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