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돈줄 끊긴 서민 유혹… 경기도 불법대출 광고 기승

profile
돌맹이 청꿈직원

https://n.news.naver.com/article/666/0000001397?type=editn&cds=news_edit

 

道, 감시단·합동 점검 운영해도 무분별한 대부광고물 배포 여전
지난해 65만7천514건 매년 증가 “단속 강화·불법대부 근절 최선”

 

11일 오후 수원특례시 권선구 인계동 거리 곳곳에 휴대폰 대출, 카드 현금서비스 등 불법대출 광고 스티커들이 붙어 있다. 홍기웅기자 


11일 오전 9시께 수원특례시 팔달구 인계동 사거리. 이곳 가로등과 건물 외벽 등엔 ‘휴대폰만 있으면 누구나 긴급지원 200만원까지’, ‘신용카드 현금화’ 등의 문구를 내세운 스티커형 광고물 27장이 빈틈 없이 붙어있었다. 붙여진 지 오래돼 빛바랜 광고물은 억지로 잡아뗀 듯 찢어져 있었고, 그 위엔 붙인지 얼마 안 돼 보이는 광고물이 3~4장씩 덕지덕지 붙어있었다.

이날 용인특례시 수지구 풍덕천동 일대도 같은 상황. 학생부터 직장인, 어르신들까지 유동인구가 많은 이 일대 길바닥엔 ‘대출 119’, ‘소득 있으면 빠른 대출 가능’이라고 적힌 빨간 명함형 광고물 수십장이 뿌려져 있었다. 명함을 한참 동안 들여다본 시민 이창덕씨(가명·59)는 “2년 전 일자리를 잃고 진 빚도 많다. 여기에 금리까지 올라 빚은 나날이 늘어나고 있다”며 “불법 대출 광고인 걸 알면서도 이런 광고를 보면 ‘대출 받을 수 있을까’라고 혹하게 되고 실제 돈을 빌리려고 한 적도 있다”고 털어놨다.

 

고금리 상황 속 취약계층을 노리는 불법 대부 광고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경기도는 지난 2019년부터 대부업 실태조사 및 합동점검, 불법 사금융 광고물 수거단(도민감시단) 운영에 나서고 있지만 여전히 오프라인에선 불법사금융 전단지, 명함·스티커형 전단지 등 다양한 형태의 광고물이 무분별하게 배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날 경기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경기도 공정특별사법경찰단이 단속한 불법 대부 광고 건수는 2020년 26만8천404건, 2021년 33만6천440건, 지난해 65만7천514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무분별한 불법 대부 광고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꾸준한 단속만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기흥 경기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금전적으로 힘든 취약계층의 경우 조건에 구애 받지 않고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문구에 쉽게 걸려들 수 있다. 불법 대부 영업장은 이를 악용하는 것”이라며 “지자체는 지속적인 단속으로 불법 대부 광고물을 차단하는 데 힘써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도 공정특별사법경찰단 경제수사팀 관계자는 “꾸준한 단속, 고객을 가장해 접근하는 수사 등을 계속해서 하고 있지만 여전히 불법 대부 광고물은 발생하고 있다”며 “단속을 보다 강화하고 직접 발로 뛰며 불법 대부를 근절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1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