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1일 1페이지 조선사> 033 신문고로 백성의 이야기를 듣다

profile
김세정

제3대 태종

 

조선은 힘이 아닌 도(道)로써 나라를 다스리는 것을 천명으로 삼았다. 특히 태종은 두차례의 왕자의 난을 통해 임금으로 즉위한 만큼, 백성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어야했 했다.

 

1401년(태종1년), 마침 안성학장 윤조와 전 좌랑 박전이 송나라의 등문고를 사례로 들며 백성들의 억울한 이야기를 들어줄 수 있는 제도를 운영하자는 상소를 올렸다.

 

이에 태종은 억울한 백성들이 직접 왕에게 호소할 수 있는 신문고를 설치했다.

 

백성이 신문고를 울리면 의금부 당직청이 사연을 접수해 왕에게 보고토록 했다. 왕은 보고서를 통해 사실을 확인하고 문제를 해결해주었다. 그러나 억울한 일이 생겼다고 아무나 신문고를 울릴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일차적으로 한양은 주장관, 지방은 관찰사에게 억울한 사건을 고발해야 했다. 그리고 다음 단계로 사헌부가 문제를 고발하도록 했다. 이 과정을 모두 마치고 나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비로소 신문고를 울릴 수 있었다. 

 

모든 단계를 거쳤다고 해도 신문고를 울려서는 안 되는 항목이 있었다. 하급 관원이 상사를 고발하거나 노비가 주인을 고발하는 내용으로는 신문고를 울릴 수 없었다. 

 

이외에도 백성이 수령이나 관찰사를 고발해서도 안 되었으며, 타인을 이용해 고발하는 것도 금지했다. 무엇보다 사실이 아닌 것을 고발한 경우에는 무고죄로 벌을 받았다.

 

신문고는 태종 이후 폐지되었다가 후대 왕들에 의해 다시 설치되고 폐지되기를 여러 번 반복했다. 세조 때는 신문고를 울리려다 시간을 알리는 북을 잘 못 치는 바람에 폐지되었고, 명종부터 효종 때까지는 신문고 대신 징을 쳐서 억울함을 울리는 격쟁제로 대체되었다. 

 

이후 영조 때 신문고가 다시 설치되었으나 제대로 운영되지는 않았다. 

 

신문고가 한양에 위치해 지방에 사는 백성들은 사용하기 어려웠으며, 신문고를 울렸다 해도 약자의 처지에서 고발 내용을 제대로 입증하기란 굉장히 어려운 일이었다. 

 

그리고 고발 할 수 있는 내용도 조상을 위하거나, 남편을 위하는 일 등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결국 신문고를 울리는 사람은 한양에 거주하는 양반이나 관리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무엇보다도 왕이 신문고를 통해 백성들의 억울한 이야기를 듣고 해결해줄 의지가 부족했다는 점이 신문고의 제 기능을 살리지 못한 가장 큰 원인이었다.

 

-결국 하는 척 제도 였군 -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