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미터 의뢰 2월 첫째주 정기 주간조사 결과
정권 교체 49.2% vs 정권 연장 45.2%…3주째 ‘오차범위’ 속 격차 확대
정당지지도는 두 당 모두 소폭 하락·격차 줄어
![차기 대서 범진보 후보 적합도 조사 결과](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09.59609af64371421590eeefd28fb4f8b3_P1.jpg)
▲차기 대서 범진보 후보 적합도 조사 결과
![차기 대선 범보수 후보 적합도 조사 결과](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09.e9e482b5d070404bba875df30267cb97_P1.jpg)
▲차기 대선 범보수 후보 적합도 조사 결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여전히 범진보·범보수 진영의 차기 대선 후보 경쟁에서 각각 큰 차이로 선두를 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다른 후보군들 상당수가 5~10% 안팍의 '의미가 있는' 지지율을 기록했다.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 종료 등 대선까지 남아 있는 대형 변수들과 관련해 주목된다.
9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전국 유권자 1002명에게 헌재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인용시 조기 대선의 범진보·범보수 진영 후보 적합도를 조사한 결과 범진보에선 이 대표, 범보수에선 김 장관이 각각 1위를 기록했다.
범진보 진영에선 이 대표가 40.8%를 기록하며 독주를 계속했다. 이어 김동연 경기지사 7.7%, 김부겸 전 국무총리 6.5%, 이낙연 전 국무총리 6.0% 순으로 나타났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 4.5%, 우원식 국회의장 3.5%, 김영록 전남지사 0.8% 등 나머지는 5% 미만이었다.
범보수 진영 후보들 중에선 김 장관이 25.1%로 오차범위 밖 선두를 유지했다. 이어 유승민 전 의원 11.1%, 오세훈 서울시장 10.3%, 홍준표 대구시장 7.5%,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7.4%, 안철수 의원 5.1%를 기록했다. 최근 출마를 공식화한 개혁신당의 이준석 의원은 4.0%였다.
정권 교체냐 정권 연장이냐에 대해선 오차 범위내 접전이 계속됐다. '차기 대선 집권세력 선호도' 조사에서 '야권에 의한 정권 교체' 의견이 0.1%포인트(p) 소폭 상승한 49.2%,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은 0.8%p 하락한 45.2%를 기록했다. 두 의견 간 차이는 4.0%p로 전주 3.1%p보다 0.9%p 확대됐다.
권역별로 보면 호남권(연장 22.5% vs 교체 69.3%)과 충청권(43.6% vs 56.4%), 서울(43.5% vs 51.1%)에서는 정권 교체론이 우세했다. 인천·경기(46.3% vs 47.4%)에서는 우열을 가리기 힘들었다. 반면 대구·경북(65.1% vs 28.7%)와 부산·경남(51.5% vs 43.2%)에서 정권 연장론이 높았다.
정당 지지도에선 국민의힘이 전주(45.4%) 대비 2.6%p 하락한 42.8%, 더불어민주당은 전주 41.8%에서 0.9%p 낮은 40.8%를 각각 기록했다. 양당 간 격차는 3.7%p에서 2.0%p로 좁혀지며 2주 째 오차범위 내 접전을 이어갔다.
이번 조사는 이달 6일부터 7일까지 이틀간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무선(97%)·유선(3%) 자동응답(ARS) 방식을 활용해 진행됐다. 응답률은8.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유승민이 2위라는 여론조사 무시하세요
역선택이니까요
그리고 거듭 드리는 말씀이지만 김문수 때문에 우리 준표형이 엄청 피해를 보고 있네요
유승민, 오세훈, 한동훈은 역선택이 많이 포함돼 있죠.
유승민이 2위라는 여론조사 무시하세요
역선택이니까요
그리고 거듭 드리는 말씀이지만 김문수 때문에 우리 준표형이 엄청 피해를 보고 있네요
유승민, 오세훈, 한동훈은 역선택이 많이 포함돼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