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대구시가 팔을 걷고 나섰다.
대구시는 저출생 위기 극복을 위해 내년부터 다자녀 가정과 난임부부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해 추진한다고 31일 밝혔다.
지난해 대구시 출생아 수는 1만139명으로 지난 2013년 1만 9340명에 비해 48%나 급감했고 특히,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6명에 그쳐 전국 평균 0.78명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데 따른 것이다.
주요 대책 내용을 보면, 다자녀 가정 기준을 현재 3자녀 이상에서 2자녀 이상으로 낮춰 지원 대상을
크게 늘렸다.
내년부터는 대구지역에서 2자녀 이상 가정은 대구의료원·공영주차장 등 각종 시 산하 공공시설 이용료를 감면받을 수 있으며, 다자녀 우대 '아이조아카드'를 발급받아 300여 개 가맹점에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 셋째아 이상 자녀가 고등학교에 입학할 때 지원받는 입학축하금 대상도 둘째아까지 확대돼, 둘째아 30만 원, 셋째아 이상 5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다만, 도시철도이용료 감면 혜택은 시 재정 상황을 고려해 현행과 같이 3자녀 이상 가정에만 적용된다.
다자녀 기준 완화로 지원 대상 가정은 현재 2만여 가구에서 13만여 가구로 약 6.5배 증가한다.
난임부부를 위해서는 진단에서부터 시술까지 전 범위를 지원하는 '난임부부지원 바우처'를 발급해 임신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난임 진단 검사비 지원 규정을 새로 만들어 최대 20만원을 지원하고, 난임 시술비도 전국 최고 수준인 1회당 170만 원을 준다.
또,난임 비급여 주사제 지원금도 한도를 20만원에서 30만원으로 올렸다.
대구지역 난임부부 지원금은 전 과정에 걸쳐 23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이는 서울시를 제외한 광역단위 최대 규모이다.
대구시는 이러한 내용을 뒷받침하기 위해 올 하반기 관련 조례를 개정하고, 중앙부처와 전문가 협의 등 사전 준비 절차를 거쳐 2024년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아이를 낳고 기르는 것이 힘든 시대에 우리 시 지원정책이 다자녀가정과 난임부부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저출생 극복을 위해 시민 여러분이 공감할 수 있는 임신·출산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노컷
https://naver.me/GieJDGti